BLOG main image


The Ruins of Roguelike Adventures

안녕하세요! R@NDONNEUR 입니다! 블로그에 톰넷 글만 일부 남기고 블로그 게시물 정리 작업 이후, 오랜만에 TomeNET 톰넷 관련 이야기를 올려봅니다.

1. TomeNET 톰넷 아시아 서버 오픈 소식

톰넷 아시아 서버(apac.tomenet.eu)2022년 4월 6일에 공식 오픈되었습니다. 서버 위치는 일본 도쿄입니다.

게임 내 Lag-o-meter 를 체크해보니 핑값이 평균 35ms 정도로 잘 나옵니다. 유럽서버의 경우 한국에서 핑값을 측정하면 250ms 에서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게임 초반 저렙 구간(배로우다운즈 - 오크케이브) 말고는 사실상 플레이가 불가능했습니다. 그래서 국내에 감자님 서버가 열리지 않은 경우 로컬 서버를 구동해서 하기도 했었고요. 앞으로 톰넷 하실 분은 APAC 서버에서 바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2. 톰넷 그래픽 폰트 제작, 그래픽 폰트 공식 채택

2016년에 '톰넷 그래픽 폰트'를 제가 처음으로 직접 만들어서 톰넷 국내외 커뮤니티에 배포했던 적이 있습니다. Angband 쪽 게임 공통으로 존재하지만 그동안 사용된 바 없었고 사장되어 있었던 font-win.prf 커스텀 기능게임에서 표현되는 지형, 오브젝트, 몬스터 등 모든 ASCII 문자를 유저 커스텀으로 다른 문자로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했었습니다.

FNT 폰트의 경우 폰트 하나당 'ASCII 확장형'으로 총 255개의 문자 표현이 가능한데, 톰넷은 클라이언트 버그로 'ASCII 스탠다드' 영역인 128번까지 밖에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필수 문자를 제외하고 사용 불가능한 빈 공간까지 빼면 실제 사용 가능한 여분의 폰트 글리프 갯수는 딱 27개. 때문에 당시 주로 배경 제작에 집중하였고, 나머지 중요 몬스터인 나즈굴 W, 드래곤 & 드래곤라이더 D, 타이탄 P 정도만 따로 구분할 수 있게 만들었었습니다.

그래픽 폰트 배포 이후 제가 톰넷 게임을 하지 않고 포럼에도 로그인하지 않는 동안 톰넷 개발자이신 씨블루님께서 제가 만든 그래픽 폰트 정식 채택 여부에 관한 쪽지를 주셨었고, 쪽지 발송한걸 거의 1~2년 지나서야 영문 포럼에 우연히 접속했다가 확인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동안 게임을 하지 않는 사이에 그래픽 폰트 프로젝트가 추진되어 ASCII 확장형 영역 사용 불가 버그도 수정되었고, 현재는 톰넷 클라이언트에 그래픽 폰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영문 톰넷 클라이언트에서 폰트를 변경하다보면 10X17K, 10X17KS, 10X17KB, 12X18K, 12X18KS, 12X18KB 등 폰트 이름에 'K'가 들어가는 6종류의 폰트가 당시에 제가 만든 폰트 입니다.

 

 

3. 톰넷 그래픽 폰트 적용 방법과 폰트 깨지는 이슈 해결 팁

톰넷 그래픽 폰트 적용 방법은 =키 누르고 f키를 눌러서 메인 윈도우의 폰트를 - + 키를 누르면 폰트가 순서대로 바뀌면서 폰트를 바꿀 수 있습니다. 폰트를 바꾸면 해당 폰트에 맞게 커스텀된 font-custom-*****.prf 설정 또한 자동 적용 됩니다.

그런데 실제 폰트 변경을 해보면 바닥 타일 및 벽 모양들이 표시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설정을 찾아보니 관련해서 추가 설정이 있더군요. =키 누르고 1키를 누르면 나오는 설정에서 중간에 certain font only: Walls look like solid blocks 를 변경해야 합니다. 기본 yes 로 되어 있는데 이걸 no 로 바꾸면 바닥이나 벽 모양들도 그래픽 폰트로 적용되어 나오게 됩니다. 그런데 짜잔!

한글 윈도우 상태에서는 폰트 그래픽이 정상적으로 표현되지 않고 이렇게 나옵니다. 마을에 비가 오면 저 화면도 깨지고요. 혹시 일본어 게임들을 해보셨다면 아실만한 전형적인 시스템 로캘 충돌 문제로 인한 폰트 표현 오류입니다. 예전에 일본어판 Angband, Hengband 실행시에도 이런걸 본 적이 있었고요.

원인을 찾아보니 제가 처음에 만들었던 폰트는 ASCII 스탠다드 영역(0~128번 글리프)만 사용하고 있어서 한글 윈도우에서도 정상 표현이 되었는데, 이걸 그래픽 폰트 공식 채택 과정에서 폰트를 수정하면서 ASCII 확장형 영역(129~255번 글리프)으로 옮기면서 나타난 문제로 보입니다.

해결 방법은 윈도우11 기준으로 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및 지역 > 기본 언어 설정 > 시스템 로캘 변경을 눌러서 영어(미국) 등으로 바꿔 주면 됩니다. 기본 한국어 상태에서 톰넷만 로캘 변경해서 구동시켜 보려고 했더니 예전 로캘 변경 프로그램은 작동하지도 않거니와 요즘에 많이 쓴다고 하는 Locale Emulator 등으로도 정상적으로 로캘 변경이 되진 않더군요.

영어(미국)으로 로케일을 변경해서 톰넷을 실행해보면 제가 만들었던 폰트가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마무리하며...

본 블로그의 경우 현재 톰넷 관련 글만 30여개 정도 남기고 전부 다 정리하고(대략 200여개 정도 삭제했었네요), 톰넷도 대략 2018년을 마지막으로 톰넷 플레이 안한지 꽤 오래된거 같네요. 가끔 생각나면 APAC 서버에서 플레이해야겠습니다. =)

TomeNET 톰넷 서버 구동!!! 톰넷 로컬 서버 구동 방법 입니다. 유럽 서버가 핑 문제로 사실상 레벨 30중반 부터는 정상적인 플레이가 불가능하다보니 로컬 서버를 구동해서 쾌적한 환경으로 1인 플레이를 한다거나 캐릭터 테스트 용으로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서버 다운로드, 접속, 관리자 계정

 

톰넷 서버 실행 화면


윈도우용으로 컴파일된 톰넷 서버 실행 파일 다운로드 : https://github.com/Tokariew/tomenet/releases/tag/4.8.0

리눅스는 소스 파일을 받아서 직접 컴파일 하면 됩니다. 우분투에서 소스 파일 다운로드 받아서 튜토리얼대로 진행하니 별 이상없이 컴파일되는거까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리눅스 컴파일 방법은 HOWTO set up your own TomeNET serverTomeNET client installation on Linux 참고하세요. 추가로 집에서 놀고 있는 리눅스 기반의 라즈베리파이3에도 톰넷 서버를 돌릴 수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윈도우 컴파일 파일 제공해주시는 분도 라즈베리파이 서버용으로 빌드에 실패하셨다고 해서 포기했습니다.

본 페이지에서는 윈도우 서버 파일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습니다.  톰넷 서버 윈도우 실행 파일은 위에서 링크된 파일 다운 받으시면 되고요. 혹시나 최신 버전이 아니거나 나중에 없어지거나한다면 톰넷 공식 포럼을 뒤져보면 나올겁니다.  일단 윈도우 서버의 실행 파일을 구동하면 위와 같은 콘솔 화면 팝업되면서 마을, 던젼 등 생성 됩니다. 서버 실행 파일 창은 그대로 두고, 톰넷 클라이언트를 실행합니다.

 


서버를 구동하였으면 클라이언트에서 실행 파일 실행. 대문자 Q를 눌러서 IP 직접 입력 선택.


서버 입력에서' localhost' 라고 입력하거나 서버가 구동되는 컴퓨터의 IP를 입력.


서버 생성 후 처음으로 만드는 계정은 관리자 계정이고, 처음으로 만드는 캐릭터는 관리자 캐릭터가 됩니다. 관리자 계정은 로그아웃하고, 신규 계정을 만들어서 접속해서 즐기시면 됩니다!

 

2. tomenet.cfg 파일 수정

 

tomenet.cfg 파일 수정


lib 폴더에 tomenet.cfg 설정 파일이 있습니다. 서버의 세팅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설정값마다 #주석처리로 설명이 상당히 잘 되어 있어서 찬찬히 읽어보면 어떻게 수정할 수 있을지는 바로 알 수 있습니다.

 

3. 관리자 전용 메뉴 간단 소개

게임에서 사용 가능한 관리자 메뉴가 따로 있습니다. 단축키는 ' ] '

게임 내 관리자 전용 메뉴


내용은 스샷에 한글로 적은 것을 참고해서 직접 테스트해보심 되구요. 추가로 게임에서 소개하는 관리자 계정 전용 명령어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플레이어 계정은 관리자가 인증을 해야되는데 헬프 파일에 validation 방법이 적혀 있지 않아서 찾아보니 /val 이네요.

/val 계정이름 명령어로 인증 가능합니다. (대소문자 구별)

그외 관리자 전용 명령어는 LUA 스크립트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cblue.lua 파일 같은 워드패드로 열어보면 주석 설명과 함께 잘 나와 있더군요. 스크립트가 여러가지가 많은데 하나를 예를 들면...

 

 

--recalls a player upwards
function rec(name)
    i = ind(name);
    players(i).recall_pos.wx = players(i).wpos.wx;
    players(i).recall_pos.wy = players(i).wpos.wy;
    players(i).recall_pos.wz = 0;
-- 7 = LEVEL_RECALL_UP, 8 = LEVEL_RECALL_DOWN
    players(i).new_level_method = 7;
    msg_print(i, "\255yA strong magical force carries you away!");
    recall_player(i, "");
end

 

 


이 스크립트는 플레이어를 던젼에서 던젼 밖으로 리콜 시키는 기능 입니다. 관리자 캐릭터로 챗 라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합니다.

/ rec('캐릭터이름')

슬래쉬 다음에 띄어쓰기 및 (' ') 까지 정확히 다 타이핑 해주시면 됩니다.


4. 캐릭터 테스트를 위한 명령어들

# 주요 아이템 위시 (k_info.txt)

일단 경험치 포션, 스킬 포션이 필요하겠죠.
아니면 관리자 캐릭터로 LUA 스크립트로 구현된 / mktest('캐릭터이름') 을 하셔도 됩니다.

  •    /wish 71 55 : 오그멘테이션 포션
  •    /wish 71 59 : 경험치 포션
  •    /wish 72 20 : 러닝 포션
  •    /wish 70 52 : 아티팩트 크리에이션 스크롤
  •    /wish 70 40 : *어콰이어먼트* 스크롤
  •    /wish 71 37 : *힐링* 포션 (코드로는 I:71:37:500 이라 /wish 71 37 500 이 정확할지도 모르겠군요.)
  •    /wish 71 40 : *리스토어 마나* 포션
  •    /wish 71 29 : 스피드 포션

뒤 숫자는 업데이트시 아이템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면 바뀔 수도 있습니다.
혹시나 변경되었다면 *_info.txt 파일을 직접 열어서 검색하시면 됩니다.


# 아티팩트 위시 방법 (a_info.txt)

아티팩트 위시는 위에 헬프 파일 스샷을 보면 스톰브링거 예제가 잘못되어 있습니다. 정확한 위시 방법은...

/wish tval sval pval discount name name2b

  •    tval, sval : 베이스 아이템 코드 넘버
  •    pval : 옵션 인챈 (스피드, 공회, 스탯 향상 수치, 만약 0 을 입력하면 아이템에 따라 랜덤이거나 제로)
  •    discount : 할인율 (0 입력하면 할인율 없음, 상점에 제값 그대로 판매 가능)
  •    name : 아티팩트, 에고의 아이템 코드 넘버
  •    name2b : (???)


대충 저런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크리스두리안을 만들어 본다면 a_info.txt 에서 N:80:'Crisdurian' I:23:28:1 라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wish 23 28 1 0 80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pval 을 수치를 바꿀 수 있습니다. 1 에서 99 로 바꿔보면...

/wish 23 28 99 0 80
1에서 99로 변경해보니 크리스두리안 공회 99 짜리가 나오네요.

/wish 23 17 pval 0 80
한발 더 나아가서 The Long Sword (23 17번 아이템) 와 Crisdurian (아티 80번)을 조합도 가능합니다.

/wish 23 17 pval 0 1
마지막으로 이건 롱소드에 갈라드리엘 피알(아티 1번) 옵션 붙인 것 입니다. 이종교배!


# 에고 위시 방법 (e_info.txt)

에고 옵션은 마이너스 넘버를 붙여 주면 됩니다.

/wish 23 28 pval 0 -65 : Executioner's Sword 에 Aman 에고 옵션을 붙인 아이템이 생성.

참고로 /wish 23 28 pval 0 -65 로 +pval 짜리 아만을 계속 만들다보면 랜덤으로 +attack 공회 붙은 아만이 생성됩니다.
그런데 위시로 받는 에고의 단점은 to-Hit, to-Dam 이 고만고만한 칼 밖에 안나온다는 점. (던젼 깊은데서 해도 마을과 동일)


# 기타 아이템들 (k_info.txt)

  • /wish 38 30 : Power DSM
  • /wish 38 40 : Death DSM
  • /wish 45 31 pval : Ring of Speed
  • /wish 40 23 pval : Amulet of Trickery
  • /wish 40 8 pval : Amulet of the Magi


이 정도면 대략적인 사용법은 다 정리를 한 것 같네요.

한글 윈도우 8 부터 Angband 를 포함하여 T.o.M.E 2, Sil, Mangband, NPPAngband 등 대다수 Angband 배리언트 로그라이크 게임들을 실행하면 이렇게 '작동 중지' 메세지가 뜨면서 게임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습니다. 꼼수로 보조 멀티 윈도우를 전부 다 없애고 실행하는 방법이 있긴하지만, 매번 실행시 설정 파일을 없애고 만드는건 정말 불편하죠.

일본어도 마찬가지. 日本語も同様の問題が発生しています。

 


아무래도 다소 오래 전에 기초를 만든 프로그램이다 보니 '아 이제 윈도우 8 부터 게임 실행에 호환성 문제가 생겼구나' 싶었습니다. 이 무렵 바닐라 Angband 는 3.x 에서 4.x 로 코드를 새로 쓰면서 한참 판올림 작업이 진행 중이었는데요. 이제 곧 이 문제가 공식 업데이트로 수정되지 않을까 싶었지만 몇달이 지나도록 아무런 조치가 취해지지 않았고, 포럼에서도 이 문제와 관련해서 아무런 이슈가 없었습니다. 왜냐면 유럽/영미권 유저들한테는 '게임 실행시 작동 중지'가 처음부터 해당 사항이 없었기 때문.

영문 윈도우도 깔아보고 설정을 이것저것 바꿔보면서 결국 한글 윈도우 상태에서도 게임 실행 가능 방법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1. '제어판>언어'를 클릭해서 언어 추가를 해야합니다.

 

 

2. 여기서 '영어'를 추가합니다.

 

 


3. 언어의 순서는 '한국어'를 위에 '영어'를 밑으로 배열하시면 됩니다.


4. 윈도우 우측 하단의 시계 옆 태스크바에 '한'이라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입력기를 전환할 수 있습니다. 또는 전환하는 단축키는 '윈도우키 + 스페이스바'.


본 내용은 작년에 로그라이크 커뮤니티에 썼던 글이라서 이미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블로그엔 늦게나마 스샷과 함께 올려봤습니다. =)

 

 

 

TomeNET 톰넷 : 단축키 정리

Posted by r@ndonneur on 2015. 1. 9. 15:40 Blog Posts

 

 

 


톰넷 한국 서버 TomeNET 4.5.8a 업데이트를 계기로 오랜만에 톰넷에 접속하면서 잉여력으로 인포그래픽(!?)을 만들어 봤습니다.

익숙한 게임조차도 1~2년 지나서 오랜만에 다시 시작하려면 어리벙벙한 경우가 많습니다.

 

 

 

 

톰넷은 실시간 게임인지라 본 게임 화면을 가리는 항목은 따로 '녹색'으로 색상을 달리했습니다. 턴제가 아니니 화면을 가린 상태에서도 공격은 오니까요. 매크로가 필수이니 F1~F12 외에 매크로 할당할만한 키와 실제 플레이어들 사이에서 기본키 대신에 매크로로 자주 바뀌는 키들은 키 근처에 파란색/하늘색 테두리를 그렸구요. 하단에는 채팅라인 슬래쉬 명령어를 일부 요약해놨습니다.

사용 권장 커맨드
오른손 키패드 부분 : *키, -키, +키, 0키, .키

왼손 부분 : 탭키, `키
Ctrl 조합 : 마을 이동 지정, 미믹 변신 지정


추가 매크로 사용 불가 커맨드

키패드 / 키 (인벤토리와 장비 왔다갔다하는 / 스왑 명령어와 중복됨)
Ctrl A (중복되지는 않으나 세팅해놓으면 특정 커맨드와 꼬임)


한글화된 돌죽/ToME4 와는 달리 ASCII 그래픽의 톰넷은 최근 신규 유입자가 거의 없어서 몇분에게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군요. 재밌는 게임이고, 한두번 클리어 하더라도 리플레이성도 상당히 높은데 진입 장벽 때문에 많은 분들이 즐기지 못한다는게 언제나 아쉬워요. ㅎㅎ


지난 2011년에는 톰넷을 제대로 안했으니, 2010년 봄 이후 2년 만인거 같네요.
현재 킹잉하는 시점에는 감자샵도 없고, 유럽서버와 완전히 동일한 세팅 입니다.

킹잉 직후 스샷 찰칵 !!! 서버 세팅은 같으니 래더에 캐릭터 덤프도 올리고 !!!

예전과 비교해서 플레이 소감을 적어보자면...

인스타 부활 !!!

'혼자하면 구조해줄 사람 없을텐데?' 하는 걱정 없이 플레이 가능하고,
장비품은 보통 1~2개 파괴되는 것 뿐이니 죽어도 금방 재정비가 편합니다.
이 부분은 온라인 게임으로서 서버에 유저가 적어도 꾸준히 즐길 수 있는 기반을 갖춘게 아닐까 싶네요.

오토-인스크립션 !!!

4.4.8 때 추가된 컨텐츠라던데 40렙 찍을 동안 있는지도 몰랐다는건 함정...ㅋ
ToME 의 오토머타이저에 비견할 수준은 아니지만, 그래도 루팅이 꽤나 편해졌습니다.
다만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 20개 밖에 안된다는건 좀 적습니다.

네임드의 약화 ???

킹잉 이전에 만나는 몇몇 강력한 네임드들을 편하게 잡았던거 같습니다.
앙칼라곤을 비롯한 D들, 노덴스, 디스트로이어, 사우론 등등

Pirotessa, Succubus Empress

벗기는 기술 언제 강화된거??? -_-??
한번에 3개씩 막 벗어 재끼는데 정말 깜놀.
앞으로도 남캐하다간 골로가기 참 쉽겠구나... 느꼈네요. 

새니티 공격 강화


렙업하면서 달라졌다고 느낀건 새로 추가된 변종몹. 새니티 공격을 하는 Psy 어택 몹들.
특히나 자이언트핏에 한두마리 섞여 있으면, ESP도 안되고 블링킹해대서 밀리 캐릭으로는 참 거지깽깽이 같았네요.
전반적으로 몹들의 새니티 공격 강화로 초중반에 새니티 관리가 다소 어려워졌습니다.
반면 새니티 포션은 예전보다 더 많이 나오더군요.

디스암의 강화

예전보다 빈도가 더 자주 발생하더군요.

허접한 랜다트

예전보다 너프가 확실히 되었다고 느낀건 랜다트.
4.4.8 업데이트(2011년 10월경)때 랜다트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완전히 바뀐었다고 공지된 적이 있었죠.
그래서 쓸만한건 대부분 어그로.

스부의 실종

스피드 부츠는 +1 짜리 두번 먹어본게 끝이고, 이스타님도 50렙때 첨 엘븐카인드 하나 드셨다고 했던가...
스샷보면 킹잉할때 엘븐카인드 부츠를 신었는데 선물로 받은 것. Anti-Magic 이라서 모르고쓰 죽이러갈때 첨 신어본거네요.

킹잉하기 전에야 스피드 +6 짜리 크보 Cubragol 이 있으니 괜찮은데 이제 킹 되어서 상당히 허접해졌네요.
쓸만한 무기도 없어서 칼도 그냥 15 15 로 인챈한 곤돌린표 브로드 소드로 때려 잡았으니...;;;

Sandor Clegane-victory_2012-08-18_22.03.49.txt
다운로드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Human Warrior lvl 50 캐릭터 HP 비교

Posted by r@ndonneur on 2011. 8. 27. 21:31 Blog Posts

1. TomeNET 4.4.4 이전 버젼의 HP 다이스 관련 소스 코드

 

 

#if 0 /* experimental (not urgent probably): 0'ing this, see below */ 
        /* Minimum hitpoints at highest level */ 
        min_value = (PY_MAX_LEVEL * (p_ptr->hitdie - 1) * 3) / 8; 
        min_value += PY_MAX_LEVEL; 
 
        /* Maximum hitpoints at highest level */ 
        max_value = (PY_MAX_LEVEL * (p_ptr->hitdie - 1) * 5) / 8; 
        max_value += PY_MAX_LEVEL; 

 

 

MAX_LEVEL 인 레벨 99 에서 3/8 ~ 5/8 사이의 범위를 벗어나는 캐릭은 HP 다이스를 다시 굴려서 범위에 들게 합니다.
레벨인 99 기준에서 축캐는 저주캐보다 최대 +67% 가량 HP 가 높을 수 있습니다.

다만 HP 증가율은 선형이 아닌 랜덤이므로 레벨 50 ~60 사이에서는 저주캐가 축캐보다 2배 이상 차이가 날 수도 있습니다.(이론적으로)

그래서 예전에는 초반 10 ~ 15 렙까지 HP가 높은 캐릭터를 고르기도 했었죠. HP 계산 엑셀도 만들어서 참고용으로 사용했었고...
실제로 Angband.oook.cz 덤프들을 참고하면 레벨 50 근방의 전사의 경우 400 ~ 500 HP 이상의 차이도 발생했었습니다.


2. TomeNET 4.4.4 이후 버젼의 HP 다이스관련 소스 코드

 

 

#else /* narrow HP range */ 
        /* Minimum hitpoints at kinging level */ 
        min_value_king = (50 * (p_ptr->hitdie - 1) * 15) / 32; 
        min_value_king += 50; 
        /* Maximum hitpoints at kinging level */ 
        max_value_king = (50 * (p_ptr->hitdie - 1) * 17) / 32; 
        max_value_king += 50; 
 
        /* Minimum hitpoints at highest level */ 
        min_value = (PY_MAX_LEVEL * (p_ptr->hitdie - 1) * 15) / 32; 
        min_value += PY_MAX_LEVEL; 
        /* Maximum hitpoints at highest level */ 
        max_value = (PY_MAX_LEVEL * (p_ptr->hitdie - 1) * 17) / 32; 
        max_value += PY_MAX_LEVEL; 

 

 

2010년 1월 31일 업데이트 이후 개정된 소스 코드에서는 레벨 50 에서 한번, 레벨 99 에서 한번.

총 두번에 걸쳐 15/32 ~ 17/32 사이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HP 다이스를 굴립니다. (최대 300회까지만 다이스를 굴림 시도)

그래서 레벨 50, 99 에서 축캐는 저주캐보다 최대 13% 가량 HP가 높을 수 있습니다.
범위도 좁고, 게다가 기준도 2번이기 때문에 킹잉 이후 레벨 50 ~ 99 중간 지점에서도 큰 편차는 발생하기가 어렵습니다.


3. Human Warrior lvl 50 CON 18/*** 캐릭터 표본 20개 테스트

톰넷 팁 게시판에 소개되었던 소스 코드들만으로는 CON Bonus 까지 나와서 실제 최종 HP 와의 갭이 있습니다.
찾아보면 추가적인 HP boosting 도 있고, Life 아이템으로도 또 상승이 됩니다.

힛다이스 → CON Bonus → HP Boost → Life 아이템 = 실제 HP

어쨌든 간만에 서버 파일을 받은 겸... 휴먼 워리어 레벨 50 짜리 캐릭을 만들어서 테스트 돌입.
세이브 파일 헥스 코드로도 분석이 가능했다면 각 레벨별 다이스 수치 정보가 있을 것 같아서 보려고 했는데 제대로 안나와서,
그냥 수동으로 캐릭터 20개 50렙 만들어서 CON 만땅 채운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217 1205 1159 1215 1195 1203 1177 1189 1183 1153

1213 1207 1197 1137 1129 1197 1159 1217 1231 1221

 


최대값은 1231, 최소값은 1137, 평균값은 1190.
최소값 대비 최대값은 8.2% 정도의 차이. HP는 최대 97 포인트 차이 발생.

정리하면...

HP 차이가 최대 67% 에서 최대 13% 로 굉장히 좁혀졌고, 레벨 50 에서도 13% 범위 내로 잡아주면서
예전처럼 축캐로 대박 나기도 불가능, 저주캐로 망하기도 불가능.

아쉬운 점은 레벨 50 에 휴먼 전사가 HP 1500 을 찍는 것은 이제 절대 보기 힘들다는 점.
아마 MAX 를 찍어도 HP 1300 을 못넘을 것 같네요. ^^;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1. 개정된 매크로 사용법
2. Quick'n'dirty macro 퀵앤더티 매크로 사용법
3. 기타 유용한 매크로와 콤보 매크로


1. 개정된 매크로 사용법


매크로는 2009년 이후로 바뀐 부분이 소폭 있어서 예전 가이드를 참고하시는 분들이 혼란스러워 하시는 것 같아 정리해봅니다.
로그라이크에서 매크로를 써본 적이 없는 분은 [톰넷 팁 게시판에 산산님이 쓰신 글]을 먼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1.1. 프리셋 매크로

일단 최근에 처음 접하시는 분을 위해서 windows_fighter.prf 파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원래는 example_fighter.prf 였는데 리눅스용 프리셋 파일 linux_fighter.prf 이 추가되면서 이름이 바뀌었네요. 
 

 

 
TomeNET 4.4.7 버젼 매크로 메뉴

현재 감자님 서버는 TomeNET 4.4.6a 인데 TomeNET 4.4.7 버젼인 유럽 서버는 매크로 세팅 메뉴가 숫자 1 ~ 9 가 사라지고 영문자로 바뀌었습니다. 로딩이 1번 → l키, 세이브가 2번 → s키, 새로운 매크로가 3번→a키, 단축키 지정이 5번→h, 매크로 테스트가 9번→t키. 그리고 매크로 위자드 z가 있어서 초보자는 더 편하게 세팅을 할 수 있게 바뀌었네요. 혹시 예전에 하신 분 또는 나중에 국내 서버가 4.4.7 이상으로 업데이트되면 변경된 메뉴 구성에 헷갈릴 수도 있으니 글 시작 전에 미리 적어 둡니다. ^^a

 

 

파이터용 프리셋 파일 로드 방법은 매크로 메뉴인 % 키 누르고 로딩 1 누르고 windows_fighter.prf 입력후 엔터, 
2 눌러서 캐릭터 이름으로 저장 하면 다음부터는 게임 실행하면 캐릭터에 따라서 자동으로 매크로를 로드 합니다.
 

 

------------------------------------------------------------------------------ 
단축키 / 설명                                     / 매크로 공식  / 인스크립션 
------------------------------------------------------------------------------ 
   F1  원거리 무기를 사용하여 발사                    \e)*tf-       필요없음 
 F2  포션 @q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마시기          \e)q1           @q1 
 F3  포션 @q2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마시기          \e)q2           @q2 
 F4  포션 @q3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마시기          \e)q3           @q3 
 
 F5  스크롤 @r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읽기          \e)r1           @r1 
 F6  스크롤 @r2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읽기          \e)r2           @r2 
 F7  스크롤 @r3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읽기          \e)r3           @r3 
 F8  스태프 @u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사용          \e)u1           @u1 
 
 F9  포션 @q4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마시기          \e)q4           @q4 
 F10 로드 @z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사용            \e)z1           @z1 
 F11 음식 @E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먹기            \e)E1           @E1 
F12 마법도구 @/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발사        \e)*t/1-        @/1

※ 영문 폰트의 \ 과 한글 키보드 및 폰트의 \ 은 동일한 문자 코드 입니다.

 

 
 
마법사를 위한 프리셋 windows_caster.prf 는 F9~F12 부분이 다르고 + , - , 0 키에도 매크로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 
단축키 / 설명                                     / 매크로 공식  / 인스크립션  
------------------------------------------------------------------------------ 
F9                  \e)m@11\r@Detect Monsters\rm@11\r@Sense Hidden\r  필요없음 
    Detect Monsters 와 Sense Hidden 2가지 콤보 사용                            
F10 로드 @z1 이라고 인스크립션 된거 사용                 \e)z1           @z1    
F11 Globe Of Light 마법 사용.             \e)m@11\r@Globe of Light\r  필요없음 
F12 마법 도구류를 근접한 몬스터에 발사                   \e)*t/1-        @/1    
+                                       \e)*tm@11\r@Noxious Cloud\r-  필요없음 
    Noxious Cloud 마법을 근접한 몬스터에 발사                                  
-   Phase Door 마법 사용                      \e)m@11\r@Phase Door\r  필요없음 
 0   Manathrust 마법을 근접한 몬스터에 발사  \e)*tm@11\r@Manathrust\r-  필요없음  

 

 


1.2. 매크로 기본 사용법

프리셋 파일을 로드 했으면 사용할 아이템에 Inscribe 이름 새기기 즉, Inscription 인스크립션을 하면 됩니다. 
인스크립션은 장비품/인벤토리의 해당 아이템에 이름을 새기는 것이며 { 키를 누르면 인스크립션을 할 수 있습니다. 
위에 소개된 프리셋을 보면 인스크립션은 기본 커맨드와 정확히 대응한다는걸 쉽게 알 수 있죠. 
 
 

 

포션 마시기 q : 인스크립션 @q1 @q2 @q3 ... 
스크롤 읽기 r : 인스크립션 @r1 @r2 @r3 ... 
로드 사용 z : 인스크립션 @z1 @z2 @z3 ... 
완드 사용 a : 인스크립션 @a1 @a2 @a3 ... 
스태프 사용 u : 인스크립션 @u1 @u2 @u3 ... 
음식 먹기 E : 인스크립션 @E1 @E2 @E3 ... 
아이템 장착 w : 인스크립션 @w0 (X키 이미 지정되어 있음, 아이템 스왑) 

 

 
 
대충 눈치 빠르신 분은 프리셋을 보고도 그냥 바로 응용해서 만들 수 있을겁니다. 
매크로를 수동으로 만드려면 매크로 메뉴 %키를 눌러서 3번 매크로 공식 입력, 5번 눌러서 단축키에 할당하면 됩니다. 
추가로 매크로 공식에서 \e) 는 버퍼 제거 및 선행 입력 무시하니 처음에 넣으시고, 엔터키에 해당하는 \r 정도만 알면 끝. 
예를 들면 프리셋에는 없는 @r4 라고 인스크립션된 스크롤 읽기라면 \e)r4 가 되겠죠.


1.3. 추가된 대체 사용법 
 
포션, 스크롤, 스태프 등 기본적인 사용법은 그대로 사용 가능 합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은 기존 방식. 
새로 추가된 방식은 아이템의 이름을 직접 타이핑하는 방식이 추가되면서 인스크립션이 필요 없습니다. 
 
예를 들면 potions of Healing 이라는게 인벤토리에 있다면 q 마신다 @ 무엇을 Healing 엔터치면 Healing 포션을 마시는 것이죠. 
단 Healing 이라고 대문자까지 정확히 타이핑 해야하며 healing 이라고 타이핑하면 안됩니다. 
자주 사용하는 포션, 스크롤을 매크로로 만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포션 potions of Healing 매크로 : \e)q@Healing\r 
포션 potions of Speed 매크로 : \e)q@Speed\r 
포션 potions of Resistance 매크로 : \e)q@Resistance\r 
스크롤 scrolls of Teleportation 매크로 : \e)r@Teleportation\r 
스크롤 scrolls of Identify 매크로 : \e)r@Identify\r 
스크롤 scrolls of Magic Mapping 매크로 : \e)r@Magic Mapping\r 

 

 
 
스태프, 완드, 로드 3가지 마법 도구는 @/1 @/2 @/3 같은 인스크립션으로 통합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추가되었네요. 
windows_caster.prf 의 F12 키를 보시면 @/1 @/2 @/3 도구 종류 불문 인스크립션 방식이 동일 합니다. 
 
그리고 최근 타게팅 방식에서 새로운 추가 옵션이 도입되었습니다.


1.4. 새로운 타게팅 옵션 + 와 - 
 
기존 매크로에서 타게팅은 *t 하나만 주로 사용했었죠. 가장 근접한 몬스터를 타겟으로 지정하는 코드 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타게팅 옵션이 * 말고도 - 랑 + 가 도입되었습니다. 
 
 

 

- 타게팅 : 기존에 타겟을 잡은 것을 포착. 타겟이 없으면 마법/활/아이템사용 등을 자동으로 취소. (4.4.6a 도입) 
+ 타게팅 : - 타게팅과 동일. 다만 타겟이 없을 경우 확인 메세지를 물어봄. (4.4.6b 도입/국내 서버엔 아직) 

 

 
 
기존 방식과 새로운 방식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z0*t : 인스크립션 @z0 이라고 된 로드를 근접한 몬스터에게 발사. 몬스터가 없으면 어쨌거나 발사. 
*tz0- : 근접한 몬스터 타겟을 잡고 @z0 로드를 발사 하거나 근접한 몬스터 타겟이 없으면 발사 취소.

 

 
 
스태프/완드/로드 등의 차지를 절약하고, 불필요한 MP 를 소모하지 않는 방식으로 개선되었죠.
몇가지 예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원거리 무기 발사 매크로 \e)*tf-
 
프리셋 파일 windows_fighter.prf 에 F1키에 할당된 새로 바뀐 화살 쏘는 매크로 입니다. 
분석하면 \e) 키입력과 버퍼 지우고 *t 근접한 몬스터에게 f 발사하는데 - 타겟이 있으면 쏘고 없으면 취소합니다. 
 
2) 타겟이 필요한 마나쓰러스트 매크로 \e)*tm@11\r@Manathrust\r
 
windows_caster.prf 에 0키에 할당된 매크로 입니다. 타겟이 필요한 마법. 
분석하면 \e) 키입력과 버퍼 지우고 *t 근접한 몬스터에게 m@11\r 마법을 캐스팅하는데 
@Manathrust\r 마나쓰러스트라는 마법을 선택하여 - 타겟이 있으면 쏘고 없으면 취소합니다. 
Manathrust 라는 마법 이름을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마법책에 @m1 @m2 @m3 같은 인스크립션이 필요 없습니다. 
 
3) 타겟이 필요없는 페이즈도어 매크로 \e)m@11\r@Phase Door\r 
 
windows_caster.prf 에 0키에 할당된 매크로 입니다. 타겟이 필요없는 마법입니다. 
분석하면 \e) 키입력과 버퍼 지우고 m@11\r 마법을 캐스팅하는데 
@Phase Door\r 페이즈 도어라는는 마법을 선택 합니다.

 


대충 매크로의 기본 공식은 이정도면 파악이 됩니다.
그런데 매크로 하나 만들자니 너무 복잡합니다. 게임에서는 퀵앤더티 매크로 사용법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2. Quick'n'dirty macro 퀵앤더티 매크로 사용법

매크로를 간편하게 세팅할 수 있는 Quick'n'dirty macro 퀵앤더티 매크로 입니다. 
\e) 버퍼 제거, \r 엔터, @m1~18 능력 코드 등 귀찮은 것을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변환해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메뉴 % 에서 q 키를 누르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이 끝나면 원하는 임의의 단축키에 지정 가능 합니다. 


2.1. 퀵앤더티 기본 사용 예제
 
 

 

예제 1 : 포션 마시기 
q1 이라고 입력하면 \e)q1 으로 자동 변환. 
 
예제 2 : 스크롤 읽기 
r1 이라고 입력하면 \e)r1 으로 자동 변환. 
 
예제 3: 스태프 사용 
u1 이라고 입력하면 \e)u1 으로 자동 변환. 

 

 


2.2. 퀵앤더티 고급 사용 예제
 
 

 

예제 1 : 원거리 무기 발사 
퀵앤더티 : *tf- 
└변환되는 공식 : \e)*tf-
 
예제 2 : @m1 이라고 인스크립션된 마법책에서 a 라는 마법을 사용 (기존 방식) 
퀵앤더티 : *tM1a-
└변환되는 공식 :  \e)*tm@11\r1a-
 
예제 3 : 마나쓰러쓰트 사용 (인스크립션 필요없음. 책만 있으면 됨) 
퀵앤더티 : *tM@Manathrust\- 
└변환되는 공식 :  \e)*tm@11\r@Manathrust\r
 
예제 4 : 페이즈 도어 사용 (인스크립션 필요없음. 책만 있으면 됨) 
퀵앤더티 : M@Phase Door\ 
└변환되는 공식 :  \e)m@11\r@Phase Door\r

 

 


2.3. 기타 능력 코드 (Ability Code) 사용 예제
 
 

 

P : 미믹의 몬스터 파워 사용 
예 : Pd 
몬스터 파워 중 d) 사용. 
 
I : 미믹의 변신 
예 : I191 
191번 몬스터로 변신. 
 
F : 파이팅 테크닉 
예 : Fa 
파이팅 테크닉 중 a) 로 바꾸기. 
 
S : 슈팅 테크닉 
예 : Sa 
슈팅 테크닉 중 a) 로 바꾸기 
 
M : 마법 캐스팅 
예 : M@Phase Door\ 
 
R : 룬 그리기 
예 : Rcbiaa  또는  Rcb\raa  또는 Rc\raa   
cbi 3번 그리기 cb\ 2번 그리기 c\ 1번 그리기 (마지막 aa 두개는 스펠 파워와 스펠 타입) 
 
T : 함정 설치 
예 : T13 
@1 이라고 인스크립션된 트랩 셋을 설치하고, 트랩에 장착될 @3 라고 인스크립션된 아이템을 지정. 
 
s : 스탠스 자세 바꾸기 
예 : sa 
스탠스 자세 a) 로 바꾸기-

 




3. 기타 유용한 매크로와 콤보 매크로

매크로 매뉴얼 마지막 챕터 입니다. 앞에서 포스팅한 매크로 매뉴얼에서 다루지 못한 기타 유용한 매크로에 대해서 다뤄 보겠습니다. 


3.1. 슬래쉬 / 로 시작하는 챗 라인 명령어 
 
엔터키(또는 :키)를 눌러 채팅 프롬프트에서 / 로 시작하는 명령어들이 있습니다. 
전체 명령어는 영문 매뉴얼 http://koti.mbnet.fi/mikaelh/tomenet/guide.php?chapter=0.2&highlight=#r270 참고 하세요. 
또는 게임 상에서 /? 를 입력해도 나옵니다. 유용한 것만 추려보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rec 던젼으로 리콜로 들어감, 던젼에서 리콜로 나감 
   /rec -550 던젼 -550ft 로 리콜 들어감 
   /afk <msg> 메세지를 띄우면서 부재 중으로 전환 
   /bbs <text> 게임내 게시판에 글을 남김 (게시판은 !키) 
   /ex 추가 캐릭터 정보를 보여 줌 
   /que 퀘스트 받기, 퀘스트 확인하기 
   /cough 기침으로 근처에 잠들어 있는 몬스터를 깨움 
   /shout 크게 소리를 지르면서 몬스터를 깨움 
   /scream 샤우트와 유사. Scroll of Aggravate Monsters 와 같음. 
   /undoskills 실수로 바로 전에 잘못 입력한 스킬 포인트를 원상태로 복구 
   /shot 스크린샷을 html 파일로 저장 

 

 
 
또한 유럽 서버에는 없지만 *감자님 서버 전용 명령어*도 있습니다. 
 
 

 

   /bind0 에서 /bind9 현재 서 있는 필드 좌표 10곳 기록 가능 
   /move0 에서 /move9 기록된 필드 좌표로 텔레포트 (사용시 골드 기부됨) 
   /ILOVEPOTATO 브리에서 오크 케이브 필드로 텔레포트 (사용시 골드 기부됨) 
   /MYDEARPOTATO 브리에서 곤돌린으로 텔레포트 (사용시 골드 기부됨) 
   /home 브리에서 브리 8번 여관 안으로 텔레포트 
   /loc 현재 위치한 좌표와 섹터를 채팅창에 표시함 

 

 
 
이런 챗 라인 명령어 중 매크로로 만들면 유용한 것들이 있습니다. 
 
 

 

명령어 : /dis 
매크로 : \e):/dis\r 
설  명 : 자동 인스크립션 terrible, cursed, uncursed, broken, worthless, average, good 아이템을 제거. 
         단 ID 하지 않은 이름을 모르는 스크롤, 포션, 반지, 목걸이 등은 제거되지 않음. 
         컴뱃 스킬이 높아서 슈도 Pseudo-ID 가 빠른 전사형 캐릭터에게 매우 쓸만함. 
 
명령어 : /dis a 
매크로 : \e):/dis a\r 
설  명 : 인스크립션이 되어있지 않은 아이템을 제거. 
          아이템을 줍고 ID 해서 팔만한 아이템은 인스크립션 한 다음, 쓸모없는 아이템은 편하게 파기하는 방법. 
          그러나 /dis b 가 도입되어서 이제는 비추. 
 
명령어 : /dis b 
매크로 : \e):/dis b\r 
설  명 : 인스크립션이 되어있지 않은 아이템을 제거. 단 감정된 excellent 등급의 아이템은 제외. 
          TomeNET 4.4.6 에서 추가된 명령어. /dis a 보다 향상된 기능. 
 
명령어 : /tag 
매크로 : \e):/tag\r 
설  명 : 인벤토리의 아이템 중 인스크립션이 없는 아이템에 !k 라는 인스크립션을 붙임. 
         !k 는 파기 방지 기능. /dis 류 명령어와 조합해서 사용하면 쓸만함. 
         예를 들면 극초반이나 맨땅 캐릭 키울때 good 등급의 아이템을 팔기 위해서 들고 다닐때. 
 
명령어 : /rec 32 32 
매크로 : \e):/rec 32 32\r 
설  명 : 브리 (32, 32) 지역으로 이동. 그외 마을이나 자주가는 던젼에 응용 가능. 
 
명령어 : /move0 에서 /move9 
매크로 : \e):/move0\r 
설  명 : /bind0 에서 /bind9 까지 기록한 해당 좌표로 이동. 

 

 


3.2. 손을 편하게 하는 매크로 
 
던젼 내려가기 > 던젼 올라가기 < 주위 둘러보기 L 의 경우 자주 사용하지만, 
키패드에서 오른손이 멀어지고 왼손으로는 쉬프트키를 눌러야하니 꽤 번거로운 명령어 입니다. 
 
 

 

명령어 : > 던젼 내려가기 
매크로 : \e)> 
단축키 : W, A 또는 키패드의 + 추천 
 
명령어 : < 던젼 올라가기 
매크로 : \e)< 
단축키 : Q 또는 키패드 - 추천 
 
명령어 : L 주위 둘러보기 
매크로 : \e)L 
단축키 : ` 추천 

 

 


3.3. 콤보 매크로 
 
2가지 이상의 조합을 동시에 사용하는 콤보 매크로도 생각할 수 있겠죠. 
 
 

 

매크로 : \e)r@Teleportation\rq@Healing\r 
설  명 : 텔레포트 스크롤로 도망친 직후 힐링 포션 마시기. 
 
매크로 : \e)r@Magic Mapping\rz@Trap location\r 
설  명 : 매직 매핑 스크롤을 읽고, 트랩 로케이션 로드를 작동. 
 
매크로 : \e)m@11\r@Detect Monsters\rm@11\r@Sense Hidden\r 
설  명 : 캐스터 매크로 프리셋 F9키. Beginner Cantrips 에 있는 디텍 몬스터와 센스 히든 마법 2종 동시에. 

 

 
 
콤보 매크로는 그냥 2~3 개를 연달아서 만들면 됩니다. \e) 는 처음에만 적어두면 되구요. 


3.4. 매크로로 자동 반격 마법 스위칭 
 
여기서는 새로 개정된 마법 이름을 입력하는 매크로 방식을 이용하여, 
마법책에 예전 방식인 @m1 @m2 같은 인스크립션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는 가정하에 만들어보겠습니다. 
예전 방식은 산산님이 쓰신 매크로 가이드 http://bit.ly/p9t0Oz 를 읽어보시면 됩니다. 
 
마법책에 @Oa 라고 새겨두면 해당 마법책의 a 마법이 자동 반격으로 쓰입니다. 
마법책에 있는 a b c d 중 자동반격으로 쓸 마법은 @0a @0b @0c @0d ... 중에 하나를 인스크립션 하면 됩니다. 
 
다만 일부 몬스터 속성에 따라 특정 마법 공격의 위력이 제대로 먹히지 않는 경우가 발생 합니다. 
그래서 자동 반격 마법을 스위칭 하는 매크로를 만들어 주면 편하겠죠. 
 
결국 @0a @0b @0c 같은 인스크립션을 책에 매기는데, 각각 다른 책에 2회 연속 콤보 매크로를 만들면 됩니다. 
인스크립션 커맨드는 { 이니 { 에 대응하는 마법책1에는 @{1, 마법책2에는 @{2를 먼저 인스크립션 해둡니다. 
 
 

 

마법책1 이터널플레임 : @{1 또는 Fireflash 자동반격시 @{1@Ob 
마법책2 언홀리헬프레임 : @{2 또는 Hellfire 자동반격시 @{2@Od 
 
매크로 : \e){1@{1@Ob\r{2@{2\r 
단축키 : [ 추천 
설  명 : 마법책1 Fireflash 자동반격. 
         @{1 이라고 적힌 책은 @{1@Ob 으로, @{2... 라고 적힌 책은 @{2 로 인스크립션. 
 
매크로 : \e){1@{1\r{2@{2@Od\r 
단축키 : ] 추천 
설  명 : 마법책2 Hellfire 자동반격. 
         @{1... 이라고 적힌 책은 @{1 으로, @{2 라고 적힌 책은 @{2@Od 로 인스크립션. 

 

 
 
매크로 설정이 끝나고 [ ] 키를 눌러보시면 마법책 2개의 매크로가 동시에 바뀌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매크로 매뉴얼은 이만하면 거의 대부분을 다룬 것 같네요.
참고로 자주 쓰지는 않는 마법, 미믹 변신 폼, 마을 이동 같은 경우 단축키를 [컨트롤 + 키]로 할당하면 괜찮습니다. 
 
 

 

ctrl + q, w, e, r, t (ctrl r 는 화면 새로 고침) 
ctrl + a, s, d, f, g (ctrl s 는 스파이크 도어) 
ctrl + z, x, c, v, b (ctrl x 세팅 세이브, ctrl c 토글 뮤직) 

 

 
 
괄호에 표시된 대로 몇몇 할당된 키들이 있긴한데 거의 쓰이는 경우가 없으니 그냥 마음 놓고 해당키로 매크로를 만들면 됩니다.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주말에 예전 글들 보다가 발견한... TomeNET 처음 접했을때 어느 커뮤니티에 남긴 스샷과 소개 글.

 

 

지금 하고 있는 게임입니다.
예전에 Nethack, ADOM 등의 로그라이크 게임을 기억 하시는 분은
아실지도 모르겠네요.
 
TomeNET (Troubles of Middle Earth Net)
Angband 아류작을 온라인 버젼으로 만든 것입니다.
 
기본 설정은 반지전쟁을 기초로하여 사루만, 모르고쓰를 처단하는게 목적이구요.
제가 택한 종족은 아라곤과 같은 두나단족 입니다.
 
지금 오크 던젼에서 갑자기 스폰된 몬스터에게 죽어서
고스트가 된후에 다른 플레이어에게
부활을 받는 중이네요 ㅋ
 
스샷은 죽을때 아이템을 전부다 바닥에 떨구는데
안전하게 주울수있게 사방에 벽을 만들어 주고 가네요.
 
유럽서버라 그런지 새벽에 15 명 정도 되더군요.

 


 스샷 이거 다시 보니까 정말 재밌네요.

Chef 유저가 접속하자마자 뻔뻔하게 귓말로 구조 요청하고 '구조해 줄 수 있다'니까, Chef 가 킹잉 캐릭인 Skeeve 로 와서 오던으로 날라와서 레이스폼 쓰고 안전하게 벽까지 쓱쓱 만들어주고 부활까지 풀 서비스 제공.

그때 당시에 C.Blue 매뉴얼 하나도 안보고 맨땅에서 시작해서리 레이스폼이니 이런거 모를때였죠. 그래서 막 벽 뚫고 다니던게 얼마나 신기하던지. 

심지어 월드맵 상에서 리콜이 된다는 것도 몰라서 오던까지 걸어갔던 시절. 암튼 게임은 맨땅에 해야 제맛 ~!!!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개발자 Darkgod 이 직접 컴파일한 ToME : Tales of Middle Earth 는 v2.3.5 가 Final Release 버젼이고, 이후에 몇몇 개발자분들께서 ToME 포럼에서 마이너 업데이트를 하고는 있습니다만 2.3.5 이후 버젼은 사실 별로 의미는 없습니다.

이미 오래전에 완성된 세계관, 바닐라 Angband 를 훨씬 뛰어넘는 완성된 게임이었기 때문에 최근 Darkgod 이 기존 시리즈를 마무리 짓고 새로운 Tales of Maj'Eyal 를 선보인게 다양성 측면에서 더욱 환영할 만한 결정이 아닌가 싶어요.

ToME 공식 포럼 : http://forums.te4.org/viewtopic.php?f=1&t=22935


한글 윈도우 XP 나 윈도우7 에서 위 스샷의 왼쪽처럼 바닥이 안 보여서 정상적인 게임 진행이 불가능 합니다. ToME v.2.3.5 옵션 파일 및 오토머타이저 등 프리셋을 첨가한 수정 배포판을 올립니다.

TomeNET 에 익숙하신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서 벽도 주석처리를 수정하여 ### 으로 바꿨습니다.

 

ToME_235_Option_Fixed_(WIN).zip
다운로드

 

1. 바닥 타일 표시 안되는 부분 수정 (/lib/pref/font-win.prf 파일을 수정)
2. 게임 화면 창 6개로 설정 (/tome.ini)
3. 오토머타이저 예제 3종 (/lib/user/automat.atm) * ToME 초보 가이드 참고 *
4. 매크로 예제 1종 (/lib/user/user-win.prf) * ToME 초보 가이드 참고 *
5. 폰트 5가지 추가.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훔치기 관련 내용 및 도둑질 로그 키우기

Posted by r@ndonneur on 2009. 9. 26. 01:58 Blog Posts

로그의 도둑질 가이드 입니다.
작년에 서버에서 처음 도둑질 로그 T-Bag lvl 50 캐릭터를 완성하면서 정리했던 내용을 다듬어서 올려봅니다.

1. 로그 클래스 특성
2. 로그 스킬 빌드
3. 공식 매뉴얼의 Stealing 부분 설명
4. 어떤 아이템을 훔칠 수 있나 ?
5. 훔치기 실패시 페널티는 ?
6. 주로 훔치는 것들은 ?




1. 로그 클래스 특성

로그는 로그 전용의 스킬인 Critical-Strike, Stealing, Backstabbing 뿐만 아니라 Conveyance, Air, Divination 마법까지 두루 배울 수 있으며 마법도구, 디스암, 퍼셉션 등 기본 능력이 매우 뛰어난 클래스 입니다. 그리고 로그만의 은신이 가능한 클록킹 모드가 존재합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로그만의 특화된 재미는 즉 훔치기에 올인하는게 가장 좋다는게 결론 입니다. 특히나 TomeNET 에서는 아이템을 보관하는 집 지킴이 캐릭터가 필요한데 로그만한게 없다고 할까요. ㅋ


2. 로그 스킬 빌드

종족 선택은 인터셉션에 보너스가 있는 휴먼-로그가 스킬수가 가장 넉넉해서 1 순위로 추천드리며 그외 두나단, 엘프, 하이엘프, 고블린 등도 무난합니다.

휴먼 로그는 50렙 기준 다음과 같은 스킬 빌드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 스틸형 로그 : (컴뱃 35), 웨폰 35, 소드 50, 인터셉션 50, 네크로 20, 헬스 10, 스틸링 50, (스닉 8)


대략 50렙에 어느 정도까지 완성할 수 있다는 예시일 뿐 세부적인 것은 취향에 따라서 달라지겠네요. 위 50렙을 기준으로한 스킬 빌드는 남는 포인트는 웨폰에 우선적으로 분배한 결과 입니다. ( ) 부분의 컴뱃, 스닉은 자동으로 분배된 것이며 실제 포인트는 하나도 분배하지 않은 스킬들 입니다. 대략 컴뱃이 저 정도 올라가는구나하고 예측하시면 됩니다.


3. 공식 매뉴얼의 Stealing 부분 설명

Ability to steal (from shops)! Very nasty >:) If you get caught, you will be on the 'blacklist of merchants' for a minute up to 2 hours, depending on the item you tried to steal from a shop. During this time it's impossible to steal, and you will get BAD prices (blackmarket-like) in shops.

Note that your blacklist timer won't decrease while you are /afk !! You'll also be on the 'watchlist', meaning that you can shop normally, but are unable to steal until the shopkeepers stop to watch youso intensely. The watchlist runs out slower than the blacklist, but allows you to be AFK.

Note that usually people don't want to be seen with stolen goods, which means that very expensive items, depending on their value, have a certain chance of their level becoming 0, making them untradable.

Your chance to steal an item from a shop
 depends on your dexterity, your stealing skill and the price and weight of the item. Stealth and invisibility are also somewhat helpful. For example it's nearly impossible to steal a large piece of wood without the store owner noticing it, although it's not worth much :)

There's always a minimum chance of 5% to fail! You need to be at least level 5 to steal. You have a chance to successfully steal an item even if your stealing skill is 0 and your dexterity low. Everyone could try to steal..

If a shop offers an item more expensive than it actually is (black market) that has no effect on stealing. The 'normal' item value is used to calculate the chances. However, if an item is offered at reduced price, it'll be easier to steal it!

It's more difficult to steal from special stores (expensive black market and especially rare footwear/jewellry/secret black market). It's a good idea to wear as many +DEX items as possible while trying to steal from a shop.


이렇게 설명을 해놨습니다. 그래서 도둑질의 난이도 결정 요소를 뽑아보면 이렇습니다.

 

아이템 가격, 아이템 무게
VS
민첩Dex, 훔치기 스킬 >>> 스텔쓰, 투명화

 


아이템 판매 가격은 해당 샵의 가격을 따릅니다. 특히 판매 가격이 낮아지는 {on sale} 중에는 그만큼 난이도가 낮아집니다. 아이템의 무게 또한 중요한 요소로써 저렴하지만 매우 무거운 골렘 재료 같은 것도 훔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상식적으로 플레이어의 속도가 빠르면 더 잘 훔칠 것 같지만 매뉴얼에는 Speed 요소에 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으니 훔치기용 아이템 세팅은 +Dex +Stl 가 붙은 에고 아이템으로 하면 됩니다. +Dex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고 하니 킹 이후에 모르고쓰 왕관이 최고의 아이템이 됩니다.

그리고 이러한 성공률이 올라가더라도 실패 확률 5%는 항상 존재합니다.

다음 자료는 각 부위별로 +Dex, +Stl, Invisibility 를 충족시켜 주는 흔한 에고템의 훔치기 전용 아이템 세팅입니다.

무기 : ***** of *Defender* (+Stl, +Dex) / 무기 및 부메랑까지 총 3 종
반지 : Ring of Stealth (+Stl), Ring of Invisibility
아뮬 : Amulet of Serpents (+Dex)
갑옷 : Elven ***** (+Stl)
클록 : ***** of Invisibility (+Stl), Elven Clock (+Stl)
모자 : ***** of the Noldor (+Dex), Crown of Morgoth
장갑 : ***** of Agility (+Dex)
신발 : ***** of Stealth (+Stl)



4. 어떤 아이템을 훔칠 수 있나 ?

현재 미나스 아노르의 Expensive B. Market을 상대로 도둑질이 불가능하다.

훔칠만한 아이템은 대다수 BM에 있고 무게 요소 때문에 마법책, 포션, 스크롤, 로드, 링, 아뮬렛 등 가벼운 아이템이 주로 그 대상이 됩니다. 일반적인 스크롤, 포션 류는 매우 잘 훔쳐지는 아이템들 입니다. 돈주고 사기에 부담스러운 책(Tome)이나 스탯 포션도 마찬가지로 훔치기 성공률이 높습니다. 5만 이하의 가벼운 아이템들을 BM에서 쏙쏙 빼먹는 손맛이 제법 좋습니다.

고가로 갈수록 확률은 점점 낮아지지만 아티팩트 크리에이션 스크롤, *어콰이어먼트* 스크롤, 스피드 링, 크리티컬 링, 트리커리 아뮬렛, 스피드 부츠, 텔레파시 모자, 마기 장갑 등도 훔치기가 가능합니다. 가벼운 아이템 뿐만 아니라 비교적 무거운 편인 드래곤 갑옷, 등산 세트 정도도 훔치기가 가능했습니다.

 

*** 공식 포럼에 올라온 2006년 3월 ~ 2006년 11월 사이의 유럽 서버 도둑질 기록들 ***

   a Blue Potion of Speed  have been stolen 1838 times.
   a Pungent Potion of Healing  have been stolen 1392 times.
   a Violet Speckled Potion of Restore Mana  have been stolen 514 times.
더보기
   a Scroll "nis bit temmur" of Teleportation  have been stolen 289 times.
   a Yellow Speckled Potion of Resistance  have been stolen 152 times.
   a Purple Potion of Cure Critical Wounds  have been stolen 108 times.
   a Stinking Potion of Healing  have been stolen 83 times.
   a Scroll "eep hex aks" of Word of Recall  have been stolen 50 times.
   a Scroll "odfid mur for" of Phase Door  have been stolen 49 times.
   a Scroll "fanes khople" of Magic Mapping  have been stolen 38 times.
   a Tangerine Potion of Restore Mana  have been stolen 34 times.
   a Scroll "con ood dok" of Enchant Weapon To-Dam  have been stolen 27 times.
   a Scroll "bugop ipeng" of *Enchant Armour*  have been stolen 26 times.
   a Flask of oil  have been stolen 24 times.
   a Black Potion of Cure Light Wounds  have been stolen 24 times.
   a Ration of Food  have been stolen 23 times.
   a Scroll "rinej sol gan" of *Enchant Weapon*  have been stolen 21 times.
   a Scroll "bot fu mung" of Identify  have been stolen 19 times.
   a Green Potion of Restore Life Levels  have been stolen 17 times.
   a Scroll "la valner" of Recharging  have been stolen 15 times.
   a Mithril Shot of Frost (3d3) (+15,+16)  have been stolen 15 times.
   a Scroll "hatab uun" of Satisfy Hunger  have been stolen 14 times.
   a Sprig of Athelas  have been stolen 14 times.
   a Scroll "nesdalf flit" of *Remove Curse*  have been stolen 13 times.
   a Dagger (1d4) (+0,+0)  have been stolen 10 times.
   a Stinking Potion of *Healing*  have been stolen 10 times.
   a Shimmering Potion of Cure Serious Wounds  have been stolen 10 times.
   a Crimson Potion of Heroism  have been stolen 8 times.
   Climbing Set  have been stolen 7 times.
   a Mithril Shot (3d3) (+9,+13)  have been stolen 6 times.
   a Gold Speckled Potion of Wisdom  have been stolen 6 times.
   a Scroll "san app tuecre" of Enchant Weapon To-Hit  have been stolen 5 times.
   a Pearl Ring of Ready Wit (+3)  have been stolen 5 times.
   a Magnesium Wand of Stone to Mud (8 charges)  have been stolen 3 times.
   a Shimmering Mushroom of Unmagic  have been stolen 3 times.
   a Main Gauche (1d5) (+0,+0)  have been stolen 3 times.
   an Origami Paper Amulet of the Serpents [+5] (+5)  have been stolen 3 times.
   a Nickel-Plated Wand of Polymorph (3 charges)  have been stolen 3 times.
   a Tungsten Rod of Perception  have been stolen 3 times.
   a Molybdenum Rod of Detection  have been stolen 3 times.
   a Spellbook of Fireflash  have been stolen 2 times.
   a Glimmer-Stone Amulet of Telepathic Awareness    have been stolen 2 times.
   a Bronze Rod of Recall  have been stolen 2 times.
   a Feanorian Lamp of Brightness  have been stolen 2 times.
   a Scroll "ertrol bit" of *Destruction*  have been stolen 2 times.
   an Engagement Ring of Cold Resistance  have been stolen 2 times.
   a Black Spotted Mushroom of Restore Strength  have been stolen 2 times.
   a Serpent Ring of Slaying (+8,+15)  have been stolen 2 times.
   a Yellow Mushroom of Restoring  have been stolen 2 times.
   a Brass Lantern (with 7500 turns of light)  have been stolen 2 times.
   a Mithril Shot of Frost (3d3) (+14,+15)  have been stolen 2 times.
   a Scroll "minin ankhmung" of *Acquirement*  have been stolen 2 times.
   a Brass Lantern of Brightness (with 7500 turns of light)  have been stolen 2 times.
   a Mithril Shot of Flame (3d3) (+17,+17)  have been stolen 2 times.
   a Jet Ring of Toughness (+3)  have been stolen 2 times.
   a Serpent Ring of Slaying (+15,+15)  have been stolen 2 times.
   a Chromium Rod of Frost Bolts  have been stolen 2 times.
   a Spellbook of Healing  have been stolen 2 times.
   a Scroll "bit mik ing" of Enchant Armour  have been stolen 2 times.
   an Uridium Rod of Disarming of the Istari  have been stolen 2 times.
   a Platinum Ring of Damage (+16)  have been stolen 1 time.
   a Tin Rod of Fire Balls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Robe [2,+14] (+1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 Modifiying Rune of Acid  have been stolen 1 time.
   an Origami Paper Amulet of the Serpents [+4] (+6)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Robe [2,+17] (+3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 Cypress Staff of Perception (20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a Scroll "ti fidder i" of Mass Genocide  have been stolen 1 time.
   an Indestructible Brass Ring of Extra Attacks (+2)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Cloak of Mistrust [4,+25] (+2)  have been stolen 1 time.
   a Serpent Ring of Slaying (+9,+17)  have been stolen 1 time.
   a Serpent Ring of Slaying (+17,+16)  have been stolen 1 time.
   a Tome of Holy Support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Cloak [4,+10] (+3)  have been stolen 1 time.
   a Scroll "annelg elaus" of Acquirement  have been stolen 1 time.
   Main Gauche (Defender) (1d5)(+13,+15)[+3](+1stl) have been stolen 1 time.
   a Picklock (+3)  have been stolen 1 time.
   a Cloak of Invisibility [1,+9] (+2)  have been stolen 1 time.
   a Meteoric Iron Amulet of the Moon (+5,+5) (+7)  have been stolen 1 time.
   an Ivory Rod of Cold Balls  have been stolen 1 time.
   a Bloodstone Ring of Chaos Resistance  have been stolen 1 time.
   a Pair of Witan Boots of Speed [8,+14] (-2) (+5)  have been stolen 1 time.
   a Sapphire Amulet of Wisdom (+4)  have been stolen 1 time.
   a Small Metal Shield of Reflection [3,+10]  have been stolen 1 time.
   a Rapier (1d6) (+0,+0)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Cloak [4,+9] (+3)  have been stolen 1 time.
   a Serpent Ring of Slaying (+14,+10)  have been stolen 1 time.
   a Light Crossbow (x3) (+0,+0)  have been stolen 1 time.
   a Robe [2,+0]  have been stolen 1 time.
   a Fur Cloak of Invisibility [3,+16] (+2)  have been stolen 1 time.
   a Strip of Venison  have been stolen 1 time.
   a Shadow Cloak [6,+12]  have been stolen 1 time.
   a Hard Biscuit  have been stolen 1 time.
   an Origami Paper Amulet of the Serpents [+2] (+6)  have been stolen 1 time.
   a Cypress Staff of Perception (18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a Pearl Ring of Ready Wit (+5)  have been stolen 1 time.
   a Platinum Ring of Damage (+21)  have been stolen 1 time.
   a Shadow Cloak of the Bat (-8,-10) [6,+20] (+1)  have been stolen 1 time. 
   a Scroll "enggar vly" of Blood Bond  have been stolen 1 time.
   a Metal Cap of the Noldor [3,+18] (+1)  have been stolen 1 time.
   an Aspen Staff of *Destruction* (3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a Hatchet (1d5) (+0,+0)  have been stolen 1 time.
   a Set of Gauntlets of Free Action [2,+8]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Cloak of Lordly Resistance [4,+33] (+4)  have been stolen 1 time.
   a Fluorspar Ring of Lordly Protection [+21]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Robe [2,+19] (+1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 Sea Shell Amulet of Slow Digestion  have been stolen 1 time.
   an Iron Rod of Healing  have been stolen 1 time.
   Dagger of the Thunderlords (1d4)(+11,+13)(+1srch)  have been stolen 1 time.
   an Indestructible Serpent Ring of Slaying (+12,+17)  have been stolen 1 time.
   a Scroll "funer mon" of Artifact Creation  have been stolen 1 time.
   a Vampiric Shadow Blade (3d4) (+15,+13) (+2)  have been stolen 1 time.
   a Jet Ring of Toughness (+2)  have been stolen 1 time.
   a Jet Ring of Toughness (+4)  have been stolen 1 time.
   a Tortoise Shell Ring of Speed (+6)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Cloak of Mistrust [4,+18] (+2)  have been stolen 1 time.
   an Agate Ring of Might (+4)  have been stolen 1 time.
   Wooden Torch of Boldness (2500t) have been stolen 1 time.
   a Cloak of Stealth [1,+7] (+2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n Indestructible Pearl Ring of Ready Wit (+2)  have been stolen 1 time.
   a Shadow Blade (3d4) (+4,+9) (+2)  have been stolen 1 time.
   Small Sword (*Defender*) (1d6)(+8,+6)[+14](+3stl)  have been stolen 1 time.
   an Elven Cloak of Protection [4,+21] (+2)  have been stolen 1 time.
   a Short Wand of Rockets (2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a Turquoise Ring of Protection [+12]  have been stolen 1 time.
   a Golden Crown of Might [0,+8] (+3)  have been stolen 1 time.
   Indestructible Fluorite Ring Critical Hits (+7) have been stolen 1 time.
   a Long Bow (x3) (+0,+0)  have been stolen 1 time.
   an Origami Paper Amulet of the Serpents [+2] (+4)  have been stolen 1 time.
   a Set of Gauntlets of the Magi (-2,-4) [2,+14] (+7)  have been stolen 1 time.
   a Hexagonal Rod of Drain Life of the Istari  have been stolen 1 time.
   a Tome of the Tree  have been stolen 1 time.
   a Dagger (1d4) (+5,+6)  have been stolen 1 time.
   an Indestructible Jet Ring of Toughness (+5)  have been stolen 1 time.
   a Fur Cloak of Invisibility [3,+13] (+4)  have been stolen 1 time.
   an Everburning Torch  have been stolen 1 time.
   a Cypress Staff of Perception (9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Elven Splint Mail (-2) [19,+17] (+3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 Carnelian Ring of Fire Resistance  have been stolen 1 time.
   a Golden Crown of Might [0,+14] (+2)  have been stolen 1 time.
   a Jet Ring of Toughness (+5)  have been stolen 1 time.
   a Long Rod of Enlightenment  have been stolen 1 time.
   a Fireproof Scroll "bugop ipeng" of *Enchant Armour*  have been stolen 1 time.
   Ethereal Dragon Scale Mail of Defense (-2) [30,+29]  have been stolen 1 time.
   a Fireproof Scroll "bot fu mung" of Identify  have been stolen 1 time.
   a Fur Cloak [3,+0]  have been stolen 1 time.
   a Ruby Ring of Cunningness (+3)  have been stolen 1 time.
   an Azure Amulet of Acid Resistance  have been stolen 1 time.
   a Dagger of Aman (1d4) (+17,+13) [+4] (+1)  have been stolen 1 time.
   a Small Sword (1d6) (+0,+0)  have been stolen 1 time.
   an Iron Crown of Telepathy [0,+9]  have been stolen 1 time.
   Elven Leather Jacket (-1) [12,+16] (+3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 Serpent Ring of Slaying (+11,+13)  have been stolen 1 time.
   a Modifiying Rune of Electricity  have been stolen 1 time.
   a Mithril Shot of Lightning (3d3) (+11,+16)  have been stolen 1 time.
   a Light Crossbow of Numenor (x4) (+24,+20)  have been stolen 1 time.
   a Sapphire Amulet of Searching (+7)  have been stolen 1 time.
   a Fireproof Scroll "annelg elaus" of Acquirement  have been stolen 1 time.
   a Spellbook of Noxious Cloud  have been stolen 1 time.
   a Scroll "denre hanelg" of Genocide  have been stolen 1 time.
   a Fireproof Scroll "rinej sol gan" of *Enchant Weapon*  have been stolen 1 time.
   a Lead-Plated Wand of Annihilation (2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an Indestructible Ruby Ring of Cunningness (+5)  have been stolen 1 time.
   a Serpent Ring of Slaying (+18,+13)  have been stolen 1 time.
   Elven Hard Studded Leather (-1) [7,+10] (+3 to stealth)  have been stolen 1 time.
   a Driftwood Amulet of Charisma (+1)  have been stolen 1 time.
   an Aspen Staff of *Destruction* (2 charges)  have been stolen 1 time.
   an Indestructible Platinum Ring of Damage (+17)  have been stolen 1 time.
   a Mithril Shot (3d3) (+12,+10)  have been stolen 1 time.
   a Set of Elven Gloves [1,+7]  have been stolen 1 time.
   a Golden Crown of Might [0,+14] (+1)  have been stolen 1 time.

*** 감자님이 게시판에 올리신 2007년 9월말 ~10월초 도둑질 기록들 ***

  a Plain Ring of Toughness {DragonArrow,16} (+4) {stolen}
  a Granite Ring of Critical Hits {DragonArrow,22} (+7) {stolen}
더보기
  2 Rusty Rings of Chaos Resistance {DragonArrow,13} {stolen}
  2 Scrolls "man rohe" of *Remove Curse* {Dragonblow,23} {stolen}
  3 Scrolls "man rohe" of *Remove Curse* {DragonRaider,10} {stolen}
  13 Sprigs of Athelas {DragonArrow,8} {stolen}
  a Tome of Knowledge {Dragonblow,19} {stolen}
  an Oily Yellow Potion of *Enlightenment* {Dragonblow,23} {stolen}
  Aluminium Rod Perception of Quickness {Dragonblow,29}{stolen}
  Tortoise Shell Amulet the Serpents {Urika,17}[+4](+4){stolen}
  Tortoise Shell Amulet the Serpents {ArmPrv,17}[+4](+4){stolen}
  2 Tortoise Shell Rings of See Invisible {-,8} {stolen}
  2 Rusty Rings of Chaos Resistance {-,13} {stolen}
  a Granite Ring of Critical Hits {-,22} (+7) {stolen}
  a Granite Ring of Critical Hits {-,22} (+7) {stolen}
  12 Sprigs of Athelas {DragonArrow,8} {stolen}
  a Copper Rod of Enlightenment {Dragonblow,25} {stolen}
  an Orange Potion of Healing {-,19} {stolen}
  a Tortoise Shell Amulet of the Serpents {-,17} [+4] (+4) {stolen}
  13 Sprigs of Athelas {Dragonblow,8} {stolen}
  14 Sprigs of Athelas {Draoneer,8} {stolen}
  a Malachite Ring of Damage {DragonPaddle,13} (+22) {stolen}
  Cloak of Stealth {DragonPaddle,15}[1,+10](+3stl){stolen}
  Pair of Soft Leather Boots of Free Action {Dragonblow,20}[2,+11]{stolen}
  a Plain Ring of Toughness {DragonPaddle,16} (+3) {stolen}
  a Granite Ring of Critical Hits {DragonPaddle,23} (+8) {stolen}
  a Plain Ring of Toughness {DragonPaddle,16} (+3) {stolen}
  a Vampiric Rapier {-,31} (1d6) (+15,+11) {stolen}
  a Vampiric Rapier {-,31} (1d6) (+15,+11) {stolen}
  a Rusty Ring of Chaos Resistance {Dragonblow,22} {stolen}
  a Nickel Ring of Sound Resistance {Dragonblow,17} {stolen}
  a Tortoise Shell Ring of See Invisible {Dragonblow,15} {stolen}
  2 Scrolls "bluviv petpot" *Enchant Weapon* {Dragonblow,9}{stolen}
  a Scroll "man rohe" of *Remove Curse* {Dragonblow,22} {stolen}
  Scroll "bluviv petpot" *Enchant Weapon* {Dragonblow,11}{stolen}
  a Granite Ring of Critical Hits {Dragonblow,22} (+7) {stolen}
  Scroll "bluviv petpot" *Enchant Weapon* {Dragonblow,11}{stolen}
  2 Sprigs of Athelas {Dragonblow,18} {stolen}
  2 Nickel Rings of Sound Resistance {Dragonblow,8} {stolen}
  Scroll "bluviv petpot" *Enchant Weapon* {Dragonblow,9}{stolen}
  2 Nickel Rings of Sound Resistance {DragonArrow,8} {stolen}
  a Nickel Ring of Sound Resistance {DragonArrow,17} {stolen}
  3 Nickel Rings of Sound Resistance {Dragonblow,8} {stolen}
  2 Nickel Rings of Sound Resistance {Dragonblow,8} {stolen}
  Scroll "bluviv petpot" *Enchant Weapon* {Dragonblow,15}{stolen}
  Gold Dragon Scale Mail {Dragonblow,25} (-2) [30,+14] {stolen}
  Shield of Deflection of Resist Acid {Dragonblow,35}[10,+24]{stolen}
  Venomous Main Gauche of *Slay Giant* {Dragonblow,33}(1d5)(+13,+11)(+1){stolen}
  Venomous Main Gauche of *Slay Giant* {Dragonblow,33}(1d5)(+13,+11)(+1){stolen}
  a Scroll "man rohe" of *Remove Curse* {Dragonblow,22} {stolen}
  Bronze Rod Illumination of Quickness {Dragonblow,23}{stolen}
  Fireproof Scroll "man rohe" *Remove Curse* {Dragonblow,24}{stolen}
  a Plain Ring of Toughness {Dragonblow,16} (+4) {stolen}
  a Topaz Ring of Speed {Dragonblow,35} (+4) {stolen}
  a Tortoise Shell Ring of See Invisible {DragonArrow,15} {stolen}


 

5. 훔치기 실패시 페널티

훔치기에 실패하면 일정 시간 동안 모든 상점으로부터 블랙 리스트 당하게 됩니다. 이때는 상점으로부터 아이템 구입 가격이 매우 비싸지며, 판매시 가격도 제 값을 못 받습니다. 은행의 예금 및 대출, 곤돌린의 ID샵처럼 상점의 서비스를 받는 것 또한 불가능 합니다.

블랙 리스트는 게임 내 시간으로 일정 턴이 흘러야 사라지며 상점에 들어갈때 블랙 리스트 메세지로 대략 얼마 정도 남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The owner Keeps a sharp eye on you." (0 - 50)
"As you enter, the owner gives you a cool glance." (50 - 1000)

"As you enter, the owner looks at you disapprovingly." (1001 - 3000)
"As you enter, the owner eyes you suspiciously."  (3001 - 5000)
"As you enter, the owner gazes at you angrily."  (5001 - 7000)
"As you enter, the owner gives you a murderous look."  (7001 ~)

미카엘h의 설명에 의하면 MAX 블랙 리스트는 1000 만턴입니다. 블랙리스트 중에 훔치기를 시도시 추가로 1000 턴씩 더 올라갑니다. TomeNET에서의 1 턴은 약 0.5초이며 1000 턴이면 8분 20초 가량입니다. 그래서 위 자료를 시간 단위로 환산하면...

"The owner Keeps a sharp eye on you." (0 - 25sec)
"As you enter, the owner gives you a cool glance." ( ~ 8min)

"As you enter, the owner looks at you disapprovingly." (8~ 25min)
"As you enter, the owner eyes you suspiciously."  (25~ 41min)
"As you enter, the owner gazes at you angrily."  (41~ 58min)
"As you enter, the owner gives you a murderous look."  (58min ~)

훔치기 실패시 아이템 가격이 대략 1만 정도에 불과하더라도 20분 내외의 블랙리스트 타임이 적용됩니다. 10만 정도면 40분 이상 훔치기가 불가능 하고, 350만이 넘는 아티팩트 크리에이션 스크롤의 경우에도 블랙리스트 시간은 1시간 10분 남짓까지 적용 됩니다. 

주의할 점은 AFK 일때 블랙 리스트 턴이 감소되지 않으니 = 옵션 설정에서 3 번을 눌러 AFK 옵션을 꺼둡니다. 그런데 이렇게 설정하고 방치해두면 배가 고파져서 죽을 수도 있으니 매우 배부른 상태인 Gorged 까지 음식을 먹이면 1시간 이상 배고파지지 않습니다. 블랙 리스트 시간이 길고 훔친 아이템은 {100% off} 가 적용되어 재판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아이템은 훔칠 필요가 없습니다.


6. 주로 훔치는 것들은 ?!

별표 등급의 마나 포션, 힐링 포션
마법 책 (tome)
트리커리 아뮬렛, 디보션 아뮬렛, 스피드 링
고급 저항이 달린 에고 템들 (무게 때문에 난이도는 낮지만 옵션이 좋으면 시도를 한번쯤 해보는...)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