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냥용으로 발바닥에 있는 아이템도 확인해주는 ID 투구를 끼고 사냥을 했습니다. 중간에 사냥하다가 나이트 크롤러, 블루 드래곤 라이더 폼도 획득했네요. 던젼에서 7 번 고급 블랙마켓도 보이고... 12분 5초 경에 던젼에서 루팅한 것들이 전부 나옵니다. 엘븐, 레지 갑옷 등만 나오고 별다른 득템은 하지 못했습니다. ^^;
※ 첨부된 RAR 파일을 다운 받아서 압축을 해제하시고, 윈도우미디어 플레이어에서 감상하세요.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Posted by r@ndonneuron 2008. 6. 19. 18:15 Blog Posts
TomeNET에서 가장 흥미로운 스킬인 미믹크리의 폼 사냥 가이드 입니다.
TomeNET의 직업 중 미믹, 어드벤쳐러, 샤먼은 변신 스킬인 미믹크리 스킬이 존재하며, 변신을 통하여 몬스터의 장점과 단점을 갖게 되며 몬스터의 다양한 능력을 일부 활용할 수 있습니다.
미믹 스킬이 가능한 클래스 중에서 어드벤쳐나 미믹은 몬스터 폼 변신에 제한이 없는 반면 몬스터 형태에 따라 착용 제한이 존재합니다. 샤먼은 직업이 갖는 컨셉의 특성상 애니멀, 자이언트, 드래곤, 드래곤라이더, 정령 계열로만 변신이 제한되지만 정령들의 레이쓰폼에서의 모든 장비 착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1. 변신 매크로 소개
~(물결)키 메뉴의 3번을 누르면 몬스터 검색이 가능합니다. 검색하는 방법은 ESC키를 누르면 전체 몬스터 검색하거나, 몬스터의 모양이 되는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등을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몬스터가 출력됩니다. 화면처럼 D를 검색하면 그룹 'D'의 리스트가 나오며, 몬스터의 고유 넘버, 몬스터 이름, 킬링 횟수, 변신하려면 몇마리 죽여야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빠른 변신을 위해서 몇가지 유용한 변신은 미리 매크로로 세팅해 두게 되는데, 변신 매크로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폼은 0 번이고, 와일드캣은 62 번. 다른 몬스터로 변신하고자 한다면 다른 몬스터의 넘버를 확인하여 응용하면 됩니다. 초반에 sprint를 자동으로 습득할때 m 메뉴에서 변신 메뉴인 c 가 d 로 바뀌니 이때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3 을 활용하는 정규식이 있으나 굳이 그걸 쓸 이유는 없습니다)
기본 폼(0) →→→ \e)mcc0\r 와일드 캣(62) →→→ \e)mcc62\r
2. 폼 사냥에 도전할만한 몬스터들
이제 대표적으로 자주 변신하게 되는 몬스터를 소개해볼까 합니다. 몬스터의 속성을 나타낸 각각의 플래그(Flags)의 기능에 대해서는 본 블로그의 [가이드 - 미믹 세부 정보] 를 보시면 됩니다.
초반 폼으로 활용가능한 와일드 캣 입니다. 플레이어의 기본 스피드는 110 인데 몬스터의 스피드는 120 이라 차이나는 수치 10 * 1/3 만큼 스피드가 향상 됩니다. 빠른 스피드와 산타기 능력 등으로 초반에 도망치기에 좋습니다. Depth 가 2 이니 트레이닝 타워 2층에서도 출몰합니다.
우르크. 오크보다 조금 더 쎈 우르크는 오던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장거리 무기 공회 +1 증가시켜 주는 몬스터라서 오크케이브 사냥시엔 꽤나 유용합니다.
저렙의 산타는 형제들인 트롤과 오우거 형제들. 산타기는 오크케이브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기능입니다. 플레이 중인 캐릭터의 종족이 엔트라면 스피드 보너스가 약간 있으니 변신을 하는게 나을 것 같네요.
스톰 자이언트. 자이언트 핏 등에서 쉽게 만날 수 있습니다. 기본 스피드도 120 이라 스피드 + 에 이뮤니티 or 저항도 있고 산타기도 가능하여 좋습니다. 따로 폼 사냥을 안하더라도 렙업을 하다보면 어느새 익히게 됩니다.
※ 몬스터의 2개 이상의 이뮤니티 적용에 대해서 : 스톰 자이언트처럼 몬스터에 이뮤니티가 2 개 이상이면, 변신시 랜덤으로 1개만 이뮤니티가 적용되고 나머지는 저항으로 바뀝니다. 이뮤니티는 변신할때마다 랜덤하게 적용됩니다.
그린 드래곤라이더. 본격적으로 HP 보너스를 듬뿍 받을 수 있는 최저 레벨의 몬스터입니다. 대략 30렙 중반에 HP 600 대 캐릭터가 그린 드래곤라이더로 변신하면 +300 이상 HP가 뻥튀기 됩니다. 모르도르 입구부터 -250ft 사이에서 드래곤 센스, 드래곤라이더 센스 아이템을 끼고 일정 시간 동안 폼 사냥에 전념하면 획득할 수 있습니다.
뱀파이어 변신이 불가능한 샤먼은 그린 드래곤 라이더는 폼 작업의 필수 코스 입니다. 반면에 미믹의 경우 그린 드래곤라이더 대신 뱀파이어 변신이 가능하니 생략해도 무방합니다. 엔트 미믹이라면 Fire 브레쓰에 취약하니 Fire 이뮨인 그린 드라가 더 좋은 선택입니다.
뱀파이어 로드와 엘더 뱀파이어. HP 증가, 뱀파이어리즘, FLY, 네더, 컨퓨전, 2종의 이뮤니티 등 다양한 옵션 때문에 미믹 클래스에게 선호되며 중후반 미믹 사냥시 유용한 폼입니다. 던젼 특성상 언데드, 데몬 계열의 출몰 확률이 가장 높은 미나스 아노르의 던젼에서 폼 작업이 쉽습니다.
데스 쿼짓. 벽과 산을 마음대로 통과하는 패스월이 가능하면서도 모든 무기를 갖출 수 있는 미믹의 필수 폼 입니다. 패스월 폼은 공격은 불가능하지만 이동용으로 그 편의성이 막강하지요. 역시나 미나스 아노르의 던젼에서 폼 사냥이 쉽고, 데스 쿼짓은 ESP로 짙은 회색의 u 를 찾고, 근처에 가기만 해도 플레이어에게 접근을 합니다.
드레드로드. 빨간색 G. 샤먼의 필수 패스월 폼입니다.
아콘. 상급 Angel 계열 중에서 모든 장비를 착용 가능한 아콘. 드물게 A 핏을 만난다면 폼을 바로 획득할 수 있는 행운을 갖게 됩니다. 살펴보면 다양한 옵션으로 매우 구성이 알찬데 기본 저항 및 이뮨, 리플렉팅, 마나 저항, 라이트 저항, 텔레포트 저항, 사운드 저항, 컨퓨전 저항, 프리액션, 플라잉, 산타기. HP 보너스는 블루 드래곤라이더 급 정도 되며 미믹 + 마법 조합의 어드밴쳐러 클래스에게 유용하리라 생각이 드네요.
그레이터 타이탄. 주황색 P. 예전에는 자이언트 핏에서 보스급으로 한마리씩 꼭 있었는데 2008년 이후 4.4.0e 로 업데이트 된 이후에는 자이언트들과 더이상 어울려서 놀지 않기에 폼 사냥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었습니다. 레어리티2인데 체감상 그린드래곤라이더보다 더 안나오는 편. 어드벤쳐, 샤먼, 미믹 등 모든 클래스에게 골고루 킹잉 등극과 킹잉 이후에도 유용한 최고의 폼 입니다.
여기서부터는 필수는 아니나 미믹이라면 한번쯤 도전해 볼만한 폼들입니다. 고렙 폼 사냥의 성지라 불리는 마운트 둠에서 폼 사냥이 가능합니다. 각종 데몬, 드래곤, 와이엄, 드래곤라이더, 일부 그랜드 소드마스터, 트루 빌리버 등이 자주 출몰합니다. 혼드 리퍼. 그레이터 발록에 준하는 상급 데몬 폼입니다. 근접 전투력 만큼은 그레이터 발록보다 뛰어납니다. 다만 AC와 HP 가 낮아서 결국 소외되는 측면이 있네요.
나이트 워커. 언데드 계열 중 최상급 몬스터입니다. AC, HP, SPEED 등의 보너스 등은 아래의 그레이터 발록과 모든 면에서 유사합니다. 나이트워커 폼 사냥은 마운트둠에서 가끔 나이트워커+나이트크롤러+아이언 리치로 구성된 핏이 출현하기 때문에 한마리씩 유인하는 방법으로 폼 사냥이 가능했습니다.
골드 드래곤라이더. 드래곤라이더 시리즈인 lvl 30 그린 → lvl 40 블루 → lvl 50 브라운 → lvl 60 브론즈 → lvl 70 골드드래곤라이더로 이어지는 계보의 마지막 단계 입니다. 플래그는 각 폼들이 모두 동일한 반면 레벨이 높아질수록 스펠이 추가되며, HP 다이스 또한 한계단씩 상승합니다. 플레이어는 그냥 노란색 D 로 보이지만, 게임상에서 다른 분들은 반짝이 D로 보게 됩니다. 약간 특이한 색깔이라 뽀대면에서 가장 훌륭한듯 싶네요. 드래곤라이더 계열은 몬스터 스펠이 의외로 쓸모가 있는듯 싶네요.
그레이터 발록. 미믹의 로망. 장비에 제한이 없는 폼 중에서는 가장 레벨이 높습니다. 무엇보다도 플라즈마 저항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외에 변신가능한 폼 중에서 플라즈마 저항이 있는 몬스터는 Great Wyrm of Power 가 거의 유일하구요. 참고로 골드 드래곤라이더 변신과 그레이터 발록 변신 후의 HP는 동일 했습니다.
트루 빌리버. 안티 매지커의 화신. HP 보너스는 그린 드래곤라이더보다 약간 더 받는 정도지만 안티매직과 안티매직필드로 p 폼 중에서는 가장 강력합니다. 트루빌리버는 마운트 둠에서도 종종 보입니다. 한번 변신하면 마을에서만 풀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전사의 안티 매직이 너프된 이상 다크 소드의 안티 매지커를 꿈꾼다면 미믹으로 도전할만 하네요.
Greater Wyrm of Power. 너무 길어서 스샷이 짤렸지만 드래곤 및 와이엄(wyrm)의 최종점. 기본 스피드도 무려 140 이고 거의 모든 저항이 다 있습니다. MA 미믹과 샤먼의 로망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
Hru 등 몇가지가 빠지긴 했는데 폼 사냥 가이드는 여기서 이만 마치겠습니다. =)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던젼 위치에 대한 스포일러는 위와 같은 형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유럽 서버의 경우 위치가 고정이지만, 감자님 서버는 1~2년에 한번씩 리셋하기 때문에 위치가 서버 리셋할때마다 바뀝니다.
(xx, yy) 는 좌표. 해당 던젼의 월드맵상 위치입니다. 1사분면 좌표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0, 0) 부터 (63, 63) 까지. 던젼의 위치는 서버가 생성될때 브리 (32,32) 지역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그 위치가 랜덤으로 결정 되며 던젼 이외의 필드의 환경도 마찬가지로 랜덤하게 생성됩니다.
Lev는 해당 던젼의 절대적인 깊이(층). 예를 들어 오크 케이브는 Lev 10 ~ 23 층이라고 되어 있는데, 오크 케이브가 있는 필드에 도착해서 던젼 입구를 찾고 한 계단을 내려가면 상대적인 층수는 -50ft 라고 표현되지만 절대적인 깊이로는 지하 10 층에 해당됩니다. 이러한 던젼의 절대 깊이는 몬스터와 트랩의 출현 여부를 결정합니다. 그래서 던젼의 깊이는 즉 난이도와 대체로 직결. 배로우 다운즈가 Lev 1 ~ 35 이니 배로우 다운즈의 지하 10층 깊이인 -500 ft 는 오크 케이브의 지하 1층 깊이인 -50 ft 와 동일한 난이도를 가지게 됩니다.
Req는 해당 던젼을 입장하기 위한 최소 요구 레벨.
아울러 필드에서 던젼으로 텔레포트하는 리콜을 하기 위해서는 플레이어의 최대 탐험한 깊이(층) 개념이 있습니다. 최대 탐험 깊이는 개별적인 던젼마다 따로 따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아무 던젼이나 가장 깊은 곳까지 도달한 곳은 다른 지역의 어느 던젼이든지 그에 해당하는 깊이에 리콜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래서 만약 배로우다운즈를 한번도 안가봤다고 하더라도 오크 케이브 -50ft에 들어가봤다면 동일한 깊이에 해당하는 배로우다운즈 10층에 리콜로 바로 접근이 가능합니다.
던젼에 들어갈때 던젼 계단의 색깔을 살펴보면 기본 연회색 외에 오렌지, 빨강, 초록, 노랑 등 다른 색깔도 존재하는데 입장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이러한 던젼의 종류와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록색 계단은 NO_DEATH. 죽어도 고스트가 되지 않고, 던젼 밖으로 모든 아이템과 함께 부활된 상태로 탈출이 됩니다. 단 경험치 감소는 있습니다. 브리 마을에 위치한 초보 던젼인 Training Tower 하나.
오렌지색 계단은 FORCE_DOWN. 계단을 내려갈때 내려가는 즉시 위로 올라가는 계단이 사라지며, 오직 최하층에서만 밖으로 탈출하는 리콜이 가능합니다. 한번 내려가면 끝까지 탐험해야 됩니다. Moria, Erebor 총 2 개의 던젼.
빨간색 계단은 NO_RECALL. 리콜로 던젼 입장과 탈출이 모두 불가능. 오로지 계단으로만 들락날락 할 수 있습니다. Death Fate, The Halls of Mandos, The Heart of The Earth, Small Water Cave, Mount Doom 총 5 개의 던젼.
노란색 계단은 NO_RECALL_INTO. 리콜로 던젼 깊은 곳에 한번에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 리콜로 탈출하는 것은 제약이 없습니다. 킹, 엠페러가 되면 입장 가능한 Nether Realm 하나.
연회색 계단은 NORMAL. 연회색 내지는 흰색으로도 보이는 계단은 모두 일반 던젼 입니다. 위 그림에서는 파란색 띠들이 모두 일반 던젼으로 총 16 개의 던젼이 존재합니다.
던젼 스샷과 함께 던젼들 중 톨킨의 저서들에서 나오는 지명들은 간단한 배경 이야기도 함께 하겠습니다.
1. The Training Tower 트레이닝 타워 Lev 1 ~ 2
시작 지점인 브리에 위치한 초보 던젼으로 지상 1, 2 층의 단촐한 구성.
언제나 불이 켜져 있어서 랜턴이 필요 없으며, 오픈 맵만 나오기 때문에 시야가 탁 트여 있습니다. NO_DEATH 던젼으로 레벨 5 정도까지는 안전하게 렙업이 가능 합니다.
2. Barrow-Downs 배로우 다운즈 Lev 1 ~ 35
트레이닝 타워처럼 브리 마을에 위치한 던젼. 던젼 입구는 마을 중심부에서 서쪽으로 오솔길을 따라가다보면 나옵니다. 1층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레벨1 부터 들어가서 사냥해도 됩니다만 트레이닝 타워 → 오크 케이브의 존재로 스킵하게 되는 비운의 던젼. 던젼을 깊이 들어가면 산 지형보다 나무 지형이 많아지면서 던젼 형태가 살짝 달라 집니다.
반지의 제왕에서는 호빗들이 호비튼을 떠나 나즈굴을 피해 브리 마을에 오기 직전에 들렀던 올드 포레스트의 심장부에 위치한 장소. 호빗 일행들이 고분 유령한테 잡혀서 죽을뻔했던 곳입니다만 영화에서는 아쉽게도 안나왔었지요. Barrow 는 무덤, 고분이라는 뜻.
3. The Orc Cave 오크 케이브 Lev 10 ~ 23
지하 1층부터 코볼드, 스노틀링, 스나가, 오크들이 군집으로 출몰하여 플레이어를 즐겁게 반겨주는 곳. 던젼 특성상 잡다한 몬스터 보다는 오크류 몬스터들이 많이 출몰하기 때문에 배로우 다운즈보다 빠른 사냥이 가능 합니다.
트레이닝 타워에서 레벨 5 정도 만들고 바로 오크 케이브 필드로 와서 던젼 1층과 지상을 들락날락. 대략 레벨 25 까지는 체감적으로 빠르게 육성이 가능하고, 이후에는 레벨업이 더딘 편. 레벨 27 즈음 다른 곳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4. The Old Forest 올드 포레스트 Lev 13 ~ 26
오크 케이브와 비슷한 던젼 깊이를 구성하고 있지만 강물과 벽 내부는 숲이라 사냥하기에는 녹록치 않은 던젼. 통로도 아니고, 완전히 오픈된 맵도 아닌 이런 복합적인 모양새는 전사에게는 꽤나 불리 합니다.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올드 포레스트와 위디윈들강을 나름 특색있게 표현한듯 싶습니다. 소설에서는 숲속 물가에서 버드나무 영감이 꼬꼬마 호빗들을 현혹시키는게 명 장면이었는데, 그래서 ToME 에서는 버드나무 영감 Old Man Willow 가 던젼 가드로 정해져 있습니다.
TomeNET 도 각각 정해진 장소에 유니크 몬스터를 팝업 시키고, 드랍 아이템의 고정 요소를 더 늘리면 메인 던젼 외에도 방문할텐데 그런게 없다는게 좀 아쉽네요.
5. Mirkwood 머크 우드 Lev 11 ~ 34
숲이라는 테마로 벽, 핏 경계 모두 나무로 이뤄져 있어서 날아다니는 몬스터로부터 은신이 어렵기에 다소 위험한 사냥터 입니다. 다만 Flying 이 가능하다면 또 의외로 날지 못하는 몬스터들로부터는 유리한 곳이기도 하겠고요. 던젼의 최하층 깊이가 배로우 다운즈와 비슷하여 오크 케이브 이후에 방문이 가능한 던젼.
반지의 제왕 전편인 소설 '호빗'에 등장하는데 머크우드의 군주로 레골라스의 아버지인 스란두일이 통치하는 장소 입니다.
6. The Sandworm lair 샌드웜 레이어 Lev 22 ~ 30
모래 괴물 소굴. 벽 내부는 노란색 모래 벽. 일반적인 몬스터는 전혀 나오지 않고, 각종 w 들만 가득 합니다.
레벨 업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일반 던젼에 비해서 바닥에 떨어진 포션이 능력치 포션인 확률이 좀 높은 편 입니다.
7. The Helcaraxe 헬카락세 Lev 20 ~ 41
실마릴리온에서 중간계 북부에 위치한 지역으로서 페아노르가 엘프들을 이끌고 Aman 아만에서 중간계로 넘어올때 거쳤던 곳. 헬카락세는 '살을 에는 얼음'이라는 뜻으로 매우 추운 빙원, 해협 입니다.
이러한 원작 컨셉으로 아이스, 콜드 계열의 몬스터가 다소 많이 출몰합니다. 오크 케이브 이후에 모르도르에 진입하기 전에 방문할 수 있는 던젼 중에서는 가장 사냥하기 괜찮습니다. 다만 다소 오픈된 장소가 많다는게 단점. 던젼을 깊이 내려가다보면 던젼 테마가 약간 바뀝니다.
8. The Maze 메이즈 Lev 25 ~ 38
매우 작은 최소 던젼 위주로만 생성되는 미로 컨셉의 던젼. 일시적인 매핑만 가능한 제한이 있습니다.
9. Cirith Ungol 키리쓰 웅골 Lev 25 ~ 51
웅골리안트의 마지막 후예인 쉘롭이 서식하는 바로 그 곳. 프로도, 샘, 골룸 일행이 모르도르 내부에 진입하기 위해서 골룸의 계략으로 들어갔다가 프로도가 잠시 번데기가 되었던 장소입니다.
스크린샷을 보면 이 던젼에는 길이라는게 거의 존재하지 않고, 온통 거미줄이기 때문에 사냥터로서는 매우 부적격한 던젼.
10. The Land of Rhun 룬 왕국 Lev 26 ~ 41
중간계의 동쪽 지역인 룬. 룬 호수가 위치한 습지, 평야 지역. 반지의 제왕에서 사우론 편을 들었던 Easterling 동부인들이 사는 곳 입니다.
던젼 전체가 오픈된 맵이라는 점이 특징이며 중간중간 나무와 벽 구조물이 난잡하여 사냥터로서는 안 좋은 장소.
11. Mordor 모르도르 Lev 34 ~ 66
모르도르. 암흑의 땅. 사우론의 부대들이 집결해 있는 그의 영토. TomeNET에서는 편의상 곤돌린 도시에 입구가 있지만 중간계 지형에서는 곤돌린과 모르도르는 전혀 동떨어진 곳에 있습니다.
모르도르 1층은 레벨 40 미만의 모든 플레이어가 사냥을 해도 페널티를 안 받는 장소이긴 합니다만, 언제나 'High Risk High Return' 인지라 레벨 20 후반부터 입구에서 1층을 들락날락하게 되는 가장 인기 있는 사냥터 입니다. 모르도르 또한 던젼이 깊어질수록 형태가 살짝 변합니다. 깊은 곳에서는 산 지형보다는 벽 지형이 대부분.
12. Submerged Ruins 수몰된 폐허 Lev 35 ~ 51
중간계 서쪽 바다 속에 잠겨 멸망한 고대 두네다인(두나단)의 누메노르 왕국. 침몰 후에는 아칼라베스라고도 불림. 정신 공격을 하는 워터 계열의 몬스터가 많이 출현하기 때문에 최악의 사냥터 중 하나로 갈 일이 전혀 없는 던젼 입니다.
13. The Illusory Castle 일루서리 캐슬 Lev 35 ~ 52
매우 이상하고 혼란스러운 장소이며 이상한 몬스터 부류가 많이 나타나는 컨셉의 던젼 입니다.
14. The Sacred Land of Mountains 세이크리드 랜드 오브 마운틴 Lev 40 ~ 45
산들 사이으로 초목의 길이 나 있는 컨셉을 가진 던젼. 길이 없는 경우도 많아서 패스월이나 산타기가 필수 입니다. 특히 산으로 막힌 1칸 벌트가 있다면 소환 걱정 없이 안전한 아이템 파밍도 가능하다는게 장점.
이 던젼은 특이하게도 톨킨의 중간계가 아닌 앤 맥카프리의 퍼언 연대기 쪽에서 유래했습니다. Dragonrider 설정처럼요. 퍼언 연대기 시리즈 중 '백색 드래곤' 편에서 나온 화산재에 묻힌 고대 지구 이주민들의 마을에서 착안한듯 싶습니다.
15. The Paths of the Dead 망자(사자)의 길 Lev 40 ~ 70
반지의 제왕에서 죽은 영혼들에게 약속을 지키라며 영혼들을 소환하기 위해 아라곤 일행이 방문했던 곳.
미나스 아노르(미나스 티리스) 도시에 위치한 던젼이고, 깊이는 ~70층까지 구성되어 있어서 모르도르보다 더 깊습니다.
던젼 특성상 언데드 계열이 많기에 짜증나는 효과들로 인해 미믹크리의 폼 사냥 외에는 별로 갈 일이 없는 던젼.
16. Dol Guldur 돌 굴두르 Lev 57 ~ 71
소설 호빗 편에서 등장하는 머크우드의 숲 속에 위치한 네크로맨서의 타워. 간달프, 사루만이 네크로맨서를 몰아내려 갔었지요. 나중에 알고 봤더니 그 네크로맨서는 바로 사우론.
주로 소규모 던젼이 생성되는 지형적 특징으로 위험하지만, 핏 사냥 위주로 매우 빠른 광렙이 가능한 곳 입니다.
17. Angband 앙그반드 Lev 67 ~ 127
강철 감옥, 강철 지옥. 모르고스가 중간계 북서부에 세운 거대한 지하 토굴.
TomeNET에서는 로스로리엔, 크하잣둠의 마을에 동시에 위치한 던젼으로서 사우론, 모르고스가 플레이어를 기다리는 곳.
이 게임에서 킹잉 레벨 전후로 주로 사냥하게 되는 메인 던젼입니다.
18. Death Fate 데쓰 페이트 Lev 1
지하 1층 짜리 의미 불명의 던젼. 용도를 전혀 알 수 없는 곳.
19. The Heart of the Earth 더 하트 오브 디 어쓰 Lev 25 ~ 37
던젼 디자인은 앙그반드와 흡사하여 사냥하기에는 무난한 장소 입니다.
ToME 에서는 한턴한턴 움직일때 던젼 전체의 벽들이 움직이는 매우 특이한 던젼인데 TomeNET 에서는 그런거 없네요.
20. The Small Water Cave 스몰 워터 케이브 Lev 32 ~ 35
4층 밖에 안되서 플라잉이 가능하다면 탐험도 무방하나 워터 계열 몬스터는 저렙일때 꽤나 위험 합니다. 소설 호빗에서 골룸이 서식하던 장소가 배경이 된 것 같습니다.
21. The Mines of Moria 모리아 Lev 30 ~ 50
한때 드워프들의 왕국이었던 크하잣둠의 나중 이름.
반지의 제왕에서는 반지 원정대들이 방문하여 발로그와 간달프가 대결을 벌였던 곳 입니다.
오크케이브와 매우 유사해서 괜찮은 곳인데 안타깝게도 강제 다운 던젼.
22. Erebor 에레보르 Lev 50 ~ 61
에레보르. 외로운 산. 소설 호빗의 주요 무대가 되는 드래곤 Smaug 스마우그의 거처.
이러한 배경을 컨셉으로 용들이 많이 출몰하는데... 역시나 강제 다운 던젼인지라...
23. Mount Doom 운명의 산 Lev 85 ~100
중간계에서 모르도르 내부에 위치한 장소. 절대 반지가 만들어 졌고, 절대 반지가 파괴된 곳.
바닥은 용암. 벽은 패스 월이 불가능. 미믹들의 고렙 몬스터 폼 사냥에 매우 좋습니다.
NO RECALL 던젼을 다닐때는 올라올때를 대비해서 계단 주위가 안전한 곳 또는 안전하게 청소된 곳으로 고르는게 좋습니다.
24. The Halls of Mandos 만도스의 홀 Lev 1 ~ 98
운명을 주관하는 나모라는 심판관 발라가 거주하던 아만의 처소. 대개 요정들이 죽으면 이곳에 와서 영원히 거주한다는 궁정.
히트 다이스는 종족 + 직업 조합에 의해 결정되며 히트 다이스의 합은 레벨별로 그 값이 누적된 수치 입니다. 이러한 히트 다이스의 주사위 굴림은 캐릭터 생성시에 각 레벨마다의 그 수치가 전부 정해집니다. (즉, 1렙때 세이브 파일만 볼 수 있으면 만렙때의 HP를 알 수 있습니다.)
히트 다이스의 합을 기준으로 CON 수치에 따라 실제 최종 hp로 보정되며, 여기에 헬스 스킬을 올렸다면 헬스 스킬을 올린만큼 각각 2 hp 포인트를 추가로 더해 줍니다.
히트 다이스가 랜덤하게 결정되는 방식 때문에 이른바 축캐, 저주캐가 발생합니다. 너무 크게 격차가 나지 않도록 다이스를 다시 굴리는 범위는 존재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범위에서도 동일한 휴먼 전사의 경우 킹잉시 HP가 몇백 포인트 정도로 차이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엑셀 파일 설명
엑셀 자료를 다운 받아서 현재 캐릭터 정보와 일치하는 6 가지 수치를 기입하면 결과 부분이 완성 됩니다. 보너스 입력 부분의 경우 표를 보시고 현재 캐릭터 CON에 의한 보너스와 현재 레벨별 보너스 최대치를 비교하여 '둘 중 낮은 숫자'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현재 레벨, HP, CON 과 레벨의 보너스 등등의 조건을 직접 입력하면 캐릭터의 레벨당 힛다이스 평균 상승치와 현재와 동일한 확률을 가정한 50레벨시의 예상 HP를 산출하여 줍니다. 그리고 종족, 클래스 구분없이 간편하게 보게끔 힛다이스의 상승치를 평균에 대한 % 수치를 표시합니다. 예를 들면 0% 이면 평균, 10~20% 라면 약간 잘 나온 캐릭터, 30% 이상이면 축캐 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주의 사항
TomeNET 이 업데이트되면 가끔 각 캐릭터, 종족의 다이스가 바뀌는 경우가 있으니 그럴땐 차트의 숫자를 변경 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실제 최종 HP는 위 공식도 일부 누락된게 있는듯하여, 그냥 비교 지표 정도로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Thunderlord (썬더로드, 드래곤라이더) 파이어스톤을 먹으면 일시적으로 좋은 효과가 나타남. 서서히 떨어지는 Levitation. 근처의 몬스터 텔레파시 효과-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반경이 길어짐. lvl 5 드래곤을 볼 수 있음. lvl 10 파이어 저항. lvl 15 콜드 저항. lvl 20 애시드 저항. lvl 25 일렉트릭 저항. lvl 30 날 수 있음. 스킬 보너스 : Polearm-Mastery, Aura of Fear, Conveyance, Fire
Vampire (뱀파이어) 다크니스 저항. 빛에 민감함. 햇빛을 받으면 HP 감소.(초반에 머미래핑 필요) 랜턴 등 광원이 필요 없음. 레벨업에 따라 반경이 길어짐. 네더 저항. 포이즌 저항. 콜드 저항. 라이프 드레인 공격에 강함. 음식을 전혀 먹지 않고 사냥함으로서 해결. lvl 20에 뱀파이어 뱃 변신 가능. 스킬 보너스 : 모든 네크로맨시 스킬
Blows/round : 턴당 최대 근접 공격 횟수. 추가적으로 종류별로 무기의 XXX-Mastery 스킬 25 포인트마다 해당 무기를 들었을 경우 +1씩 상승합니다. 예를들어 전사의 경우 소드마스터리 스킬이 50 이라면 소드를 들었을 경우 공회는 6+2=8 입니다. 공회 추가되는 아이템과 마법에 의해서 더 올라가기도 합니다. 마샬 아츠는 위표와 관계없습니다.
Parrying/Blocking : 공격에 대한 패리와 블로킹. 투핸드와 같은 보다 큰 무기를 사용할 경우 확률은 더 상승합니다. 웨폰 마스터리스킬이 확률을 올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
Posted by r@ndonneuron 2008. 6. 10. 11:29 Blog Posts
1. 몬스터 정의 파일 2. 플래그 리스트 3. 스펠 4. 폴리모프링
1. 몬스터 정의 파일
몬스터 정보는 TomeNET 게임 폴더에 포함되어 있는 info_r.txt 파일이나 [TomeNET몬스터 서치]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미믹으로 획득한 몬스터 변신시 다양한 요소에 영향을 줍니다. info_r.txt 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플래그와 스펠 이외에 중요한 내용만 추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corpse weight : 변신하는 몬스터의 무겁고 가벼움에 따라 스텔스에 영향이 잇습니다.
speed : 기본은 110. 몬스터가 더 빠를 경우 30 %의 보너스. 예를 들어 몬스터가 130 이라면 차이가 나는 20 x 30%로 계산되어 변신시 +7 스피드 추가됩니다.
hit point : 중요한 체력. 매뉴얼에 히트 포인트 공식에 대한 설명이 좌르르 있으나 대략적인 공식에다 설명이 불충분하여 이리저리 계산해봐도 안 맞고 이해 불능입니다. 공식에서는 몬스터의 실제 HP보다는 HP 다이스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참고 삼아 50d50 의 그린 드래곤라이더 변신시 약 추가 40%의 HP 향상이 있었구요. HP 다이스가 60d60 인 블루 드래곤라이더 변신시 약 50% 향상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24d100 의 레서 타이탄 변신시에도 그린 드래곤라이더와 동일한 HP 값을 보였던 기억이 있네요.
armour class : 별로 중요한 요소는 아니니 패스.
E: weapons : torso : arms : finger : head : leg : 몬스터의 몸의 모양에 따라 장비를 착용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팔이 여러개라고 해서 건틀렛을 여러개 낄 수는 없습니다.
attack effect : 공격시 효과를 줍니다. 실명, 컨퓨전, 공포, 스턴 등등의 공격이 있습니다. 물론 저항이 있는 몬스터들에겐 통하지 않는 공격입니다. =)
2. 플래그 리스트
RES_xxx : 저항. RES_LITE 처럼 빛(light) 저항을 애매하게 표현한 것도 있네요.
IM_xxx : 면역을 줌. 몬스터가 1 개 이상의 면역 능력이 있으면 랜덤으로 1개만 면역이 주어지고, 나머지는 저항으로 바뀝니다. 어떤 면역을 얻었는지 확인을 위해 self-knowledge 포션을 사용하라고 하는군요.
PASS_WALL : 유령처럼 벽 통과. 다만 변신 중 HP가 지속적으로 감소.
KILL_WALL : 벽을 매우 *쉽게* 팔 수 있음.
REGENERATE HP : 리젠 속도 상승.
CAN_SWIM : 수영 가능.
CAN_FLY : 날아 다니기 능력.
STUPID : -2 intelligence.
SMART : +2 intelligence.
NO_CONF : 컨퓨전 저항.
NO_FEAR : 공포(Fearness) 저항.
NO_SLEEP : 프리 액션. 마비 저항.
NO_STUN : 사운드 저항.
NO_CUT : 상처 방지 및 피흘리기 방지.
DISBELIEVE : 안티매직 필드 형성 ((몬스터레벨 / 2) + 20) 퍼센트. 안티매직 필드 범위는 ((몬스터레벨 / 15) + 3) 필드. 대표적으로 Unbeliever 나 True Believer 같은 몬스터.
이외에 블링크나 텔레포트등 몬스터의 스펠을 적은 마나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주의사항 : 스펠포인트가 충분치 않을때 마비나 HP 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폴리모프링
게임 상에서 획득할 수 있는 폴리모프링은 2 종류입니다. 몬스터 이름이 적힌 것과 Player 라고 적힌 것으로 나누어집니다. 먼저 몬스터 이름이 적힌 것은 폴리모프링을 끼고 반지를 활성화하면 해당 몬스터로 변신이 가능합니다. 이때 변신하기 위해서는 몬스터 레벨의 1/2에 해당하는 미믹 스킬이 필요합니다.
폴리모프링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Player 라고 적힌 폴리모프링을 끼고, 원하는 몬스터로 변신한 다음 반지를 활성화하면 됩니다. 단 주의할 것은 폴리모프링을 제조하면 지금까지 획득한 해당 몬스터 카운트가 초기화 됩니다. 제조되는 반지의 착용 레벨은 다음과 같습니다.
form level ring level ---------------------------------- 1 15 30 28 60 38 100 (이론적인) 44
폴리모프링 제조시 마법 도구 스킬이 높으면 보다 많은 턴을 반지에 넣을 수 있습니다. by RaND0NNEuR's Qlzqqlzuup & Roguelike 로그라이크 게임 - TomeNET : Tales of Middle Earth Multiplayer